총 3개
-
사시검사2024.09.261. 서론 1.1. 연구목적 사시는 태어날 때는 물체를 보고 분간할 수 있는 능력(시력)이 없으며 자르면서 눈을 계속 사용해 시력이 발달하는데 대략 8-9세 정도 되면 성인의 시력에 도달하지만, 사시가 있는 소아의 경우 눈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시력발달이 되지 않고 약시가 될 수 있다. 나이가 많아지면 약시의 치료가 어려워지므로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안과에서 실습하면서 사시를 가진 환자들이 사시수술을 위해 입원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사시에 대한 자세한 이론을 알...2024.09.26
-
위장관 아동2024.11.191. 아동 건강검진 1.1. 사시검사 1.1.1. 히르쉬버그검사 히르쉬버그검사(Hirschberg test)는 사시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다. 이 검사는 검사자의 집중된 빛을 아동의 눈에 비추어 각막에서 반사되는 빛의 위치를 관찰함으로써 사시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히르쉬버그검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자는 한 손으로 펜라이트를 들고 아동의 머리 옆에서 수직으로 빛을 비춘다. 이때 펜라이트는 아동의 머리로부터 약 30cm 떨어진 거리에서 비춰진다. 둘째, 다른 한 손으로 아동의 머리를 돌려 빛이 양쪽 눈...2024.11.19
-
성인간호학 콩팥요로계 감각기계 문제2024.12.091. 비뇨기계 질환 1.1. 콩팥 및 요로계 질환 1.1.1. 배뇨장애 1.1.1.1. 요정체 요정체는 콩팥에서 소변이 형성되나 방광에서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주된 원인은 신경성 방광기능 장애, 요관 방광역류, 요관의 연동운동 감소, 배뇨근 위축, 불안, 수술 후 통증 및 약물(마취제, 마약제제, 진정제 등) 부작용 등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방광출구 폐쇄이다. 요정체가 발생하면 요로감염과 결석 형성의 위험이 증가한다. 요정체로 인해 방광내압이 계속 증가하면 신우와 신 실질조직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물...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