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향렴집2024.11.181. 서론 미국 작가 카렌 선드(Karen Sunde)가 말하길, 사랑하는 것은 천국을 살짝 엿보는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일은 참으로 아름답고 고귀한 것이다. 그렇다면 고대에는 어땠을까? 고대 철학자 플라톤은 사랑이 미의 이데아를 보는 행복에 이르는 길을 마련해 준다고 했다. 이후 중세에는 신학의 발달로 사랑이 최고의 추구 목표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사랑은 아주 오래전부터 최고의 가치로 추앙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참 추상적이고 모호해서 정의 내리기 힘들지만, 분명 아...2024.11.18
-
너무 한낮의 연애2024.10.141. 현대사회에서의 사랑과 연애 1.1. 사랑의 현대적 정의 사랑이라는 "강렬한" 감정의 경험이 연애-결혼의 과정으로 완성되는 개념은 18세기 이후에야 등장한 근대적 산물이다. 기든스는 이러한 "'낭만적 사랑'은 개인적 서사의 탄생"을 의미하며, "육체적 결합과 정신적 친밀성을 바탕으로 한 가정의 탄생"을 토대로 "안정적인 자아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으로 이를 설명한다. 서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결혼과 가정이라는 전통적 제도의 권위가 붕괴하고 현대인을 불안으로 몰아넣은 개인주의와 탈주술화"가 낭만적 사랑의 영역에까지 영향을...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