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개
-
해부학 근육계통2024.09.101. 서론 1.1. 해부학의 정의와 범위 해부학은 생명체의 구조, 형태 및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부학의 범위는 사람 몸을 대상으로 하는 맨눈해부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현미경해부학, 그리고 수정란에서부터 개체의 발생과 성장과정을 다루는 발생학(태생학)의 3분야로 구분된다. 맨눈해부학은 나이프, 핀셋, 가위 등을 사용하여 인체를 구성하는 장기의 위치, 형태, 구조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다시 국소해부학과 계통해부학으로 나뉘는데, 국소해부학은 사람 몸의 특정 부위를 연구하고, 계통해부학은 사람 몸의 계통에 따라...2024.09.10
-
해부생리학2024.09.221. 뼈의 구조와 분류 1.1. 인체의 뼈 구분 인체의 뼈는 총 20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편의상 몸통 뼈대(체간 골격, axial skeleton)와 팔다리 뼈대(체지 골격, appendicular skeleton) 두 부분으로 나뉜다. 몸통 뼈대(axial skeleton)는 머리, 목, 몸통의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뼈와 연골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몸통 뼈대(axial skeleton)에는 머리뼈(skull), 귓속뼈(auditory ossicles), 목뿔뼈(hyoid bone), 척주뼈(vertebr...2024.09.22
-
얼굴뼈2024.09.271. 뼈와 근육 1.1. 뼈대계통 1.1.1. 뼈의 기능 뼈의 기능은 지지(support), 운동(movement), 보호(protection), 무기물 저장(storage of minerals), 지방의 저장(storage of fat), 혈액세포(혈구, blood cell) 형성 등이다. 뼈는 연부조직(soft tissue)을 지지해주는 견고한 구조물이다. 또한 뼈대는 근육들이 부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준다. 뼈대는 심장과 허파 같은 내부 장기들을 보호한다. 뼈대는 칼슘과 인과 같은 무기물들을 저장해 필요에 따라 신체...2024.09.27
-
뼈대계통 문제2024.10.011. 골격, 관절, 근육, 호흡 1.1. 뼈대계통 1.1.1. 뼈의 기능 인간의 뼈는 206개로 형성되며, 뼈조직, 뼈막, 뼈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뼈는 몸전체와 중요기관을 보호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지지작용(Support)이다. 뼈는 몸통과 사지를 지지하여 직립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근육과 관절의 기능을 보조한다. 둘째, 운동작용(Movement)이다. 뼈대와 근육의 조화로운 작용으로 인해 관절 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몸의 이동과 활동이 구현된다. 셋째, 보호작용(Protection)이다. 두개골...2024.10.01
-
무릎에 발생하는 무릎질환의 원인과 알아보고2024.10.011. 골관절염(Osteoarthritis) 1.1. 정의 및 분류 1.1.1. 정의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점진적인 관절 연골의 소실 및 그와 관련된 이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관절을 이루는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관절막, 주변 인대 등에 이차적 손상이 일어나서 통증과 변형,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1.1.2. 일차성 및 이차성 골관절염 골관절염...2024.10.01
-
정형외과 약어2024.10.061. 근골격계 용어 1.1. 관절 및 인대 관절은 두 개 이상의 뼈가 만나 연결된 부위로, 관절의 종류에는 경첩관절, 볼과 소켓관절, 활막관절 등이 있다. 관절에는 관절낭, 관절강, 관절윤활막, 관절연골 등의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들은 관절의 기능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섬유성 연부조직이다. 대표적인 관절인대로는 무릎관절의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외측측부인대(LCL) 등이 있다. 이들 인대는 관절의 과도한 움...2024.10.06
-
정형외과 교육자료2024.10.311. 정형외과 해부생리 1.1. 뼈의 형성 태아기의 초자연골모형 model 이 조골세포 osteoblasts 에 의해 덮인다. 연골성 뼈를 골성 뼈가 덮고 가운데 초자연골이 흡수되어 골수강이 나타난다. 태아기의 초자연골모형이 남아있는 형태로 관절연골, 골단판이 있다. 관절표면의 마찰을 줄이고, 골단판은 장골의 길이성장을 하게 된다.""이다. 1.2. 뼈의 성장 뼈의 성장은 키와 몸무게가 증가될 때 뼈의 정상적인 비율과 장력을 유지시키는데 필수적이다. 뼈의 길이성장과 두께성장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이뤄지기 때문에 장골의 둘레가 넓어...2024.10.31
-
의학용어 기말고사2024.11.071. 신체계 및 비뇨계통의 구조와 기능 1.1. 신체계 1.1.1. 골격계 골격계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진 체내 구조물로, 신체의 지지대이자 보호기능을 하는 중요한 계통이다. 뼈는 체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 크게 피질골과 해면골로 구성되어 있다. 피질골은 뼈의 겉면을 덮고 있는 치밀한 층이고, 해면골은 피질골 내부의 엉성한 구조를 가진다. 해면골은 내장기관을 보호하며, 골수생성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뼈는 성장이 완료되면 약 206개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된다. 두개골은 머리 부분을 보호하며, 안면골은 눈, 코...2024.11.07
-
폐쇄성 대퇴경부 골절 욕창의 위험성 간호진단2024.11.071. 골절 개요 1.1. 정의 골절(fracture)은 외부의 힘에 의해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로, 뼈가 부러진 상태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은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될 수 있고, 장기적인 부동으로 인해 합병증이 유발되므로 간호사는 골절 환자의 건강문제를 신속히 파악하여 합병증과 기형을 예방해야 한다." 1.2. 원...2024.11.07
-
해부학 근골격계2024.11.081. 뼈 1.1. 구조 1.1.1. 미숙골 미숙골(immatura bone)은 태아와 소아의 급성장기에 나타나는 뼈의 형태로, 무층골의 일종이다. 이 미숙골은 아직 구조화되지 않고 성숙한 형태의 뼈와는 달리 조직이 덜 발달되어 있다. 미숙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뼈 조직 내에 칼슘침착이 덜 되어 있어 경도가 낮고 연하다. 둘째, 뼈 조직 내 유기질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 탄력성이 있다. 셋째, 연골부위가 넓고 뼈의 성장이 활발하다. 넷째, 뼈의 표면이 거칠고 불규칙하다. 다섯째, 뼈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경계가 불분명하...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