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ER 심근경색2024.09.06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허혈성 심질환은 산업화 사회의 가장 중요한 질환이다. WHO에 의하면 1999년에 1,700만명이 허혈성 심질환으로 사망하였으며, 심근경색의 경우 30일 사망률이 30%에 달한다. 한국에서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9년 심질환으로 16,000여명이 사망했고, 이 중 66%인 만여명이 허혈성 심질환(심근경색증 8천여명)으로 사망했다. 이처럼 심근경색증은 국내외적으로 매우 심각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관상동맥 증후군은 진단과 치료 면에서 큰 발전을 보였다.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2024.09.06
-
NSTEMI 케이스2024.10.021. 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 1.1. 정의 및 원인 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중 하나로,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발생하는 심근경색증이다. 비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NSTEMI)은 심근경색증의 한 종류로, 관상동맥의 부분적인 폐색으로 인해 심근이 허혈 상태에 빠지지만 심전도상 ST분절이 상승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성 플라그가 갑자기 파열되어 혈전이 생성되면서 혈관이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어 발생한다. 죽상경화증은 관상동맥의 가장 주요한 병...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