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Sengstaken Blakemore2024.11.031. 위장관 튜브의 종류 및 정의 1.1. 비위관(Nasogastric tube) 1.1.1. Levin tube Levin tube는 수분이나 가스를 제거하거나 위 내용물을 채취하기 위해 또는 영양 액이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일 관강 관이다. 내관이 1개이며 끝에 구멍이 있다. 주로 상부 위장관의 수분이나 가스 제거, 검사를 위한 위 내용물 수집, 위장관을 통한 약물이나 음식물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Levin tube는 비위관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으로, 위와 십이지장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코를...2024.11.03
-
간호 영양-위관2024.11.131. 위장관 삽관과 특별 영양관리 1.1. 위장관 튜브 1.1.1. 위장관 튜브의 목적 위장관 튜브의 목적은 첫째, 위내 가스와 수분 제거를 통한 감압(decompression)이다. 가스나 수분으로 장이 팽창하지 않도록 장 내용물을 흡인하는 과정이다. 둘째, 약물이나 음식물 공급을 위해 사용된다. 셋째, 검사용 위 내용물을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넷째, 폐쇄나 출혈 부위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다섯째, 위장관의 운동기능 진단을 위해 사용된다."" 1.1.2. 위장관 튜브의 종류와 삽입목적 비장관 Nasoenteric tubes는...2024.11.13
-
체액 전해질 불균형 환자 간호2024.09.011. 전해질 불균형 1.1. 전해질의 개념과 역할 전해질은 세포외액이나 세포내액에서 볼 수 있는 전기를 띤 이온으로 해리된 물질이다. 주요 양이온에는 Na+, K+, Ca2+, Mg2+, H+가 있고 주요 음이온에는 Cl-, P-, HCO3-, 단백질 등이 포함된다. 세포 내 전해질에는 K+, Mg2+, P-가 대표적이며 세포 외 전해질에는 Na+, Ca2+, Cl-, HCO3-가 포함된다. 전해질은 신체 수분 조절, 산-염기 조절, 효소 반응 및 신경근 활동에 주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세포외액에 있는 나트륨 농도가 체액 균형에...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