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화학생물공학기초실험2024.09.271. 반응열 측정과 Hess의 법칙 1.1. 반응열의 정의와 종류 반응열이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반응열은 주로 1몰의 물질이 반응할 때 출입하는 에너지로 표현되며, J/mol이나 kJ/mol과 같은 단위를 사용한다. 반응열에는 생성열, 연소열, 중화열, 용해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생성열은 1몰의 화합물이 그 성분 원소의 순수한 물질에서 생길 때 발생 또는 흡수하는 열량을 의미한다. 연소열은 물질 1몰이 완전히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나타낸다. 중화열은 산과 염기가 각각 1g ...2024.09.27
-
잠열측정융해열측정2024.10.071. 실험 개요 1.1. 실험 제목 잠열 측정 : 융해열 측정이다. 1.2.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몰 열량계를 이용하여 혼합법으로 얼음의 융해열을 측정하는 것이다. 물체에 열을 가하면 온도가 변하거나 상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얼음의 융해열을 구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핵심 목적이다. 물질의 상태가 일정할 때는 Q=cm∆t 식을 사용하여 열량을 구할 수 있지만, 상변화가 일어날 때는 Q=±mL 공식을 통해 잠열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서는 0°C의 얼음이 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의 융해열을 측정하...2024.10.07
-
산소의 전기 음성도2024.10.091. 산화수의 정의와 구하는 방법 1.1. 산화수의 정의 산화수란 하나의 물질(홑원소 물질, 분자, 이온 화합물 등)에서 전자의 교환이 완전히 일어났다고 가정하였을 때 물질을 이루는 특정 원자가 갖는 전하수를 말하며 산화 상태(oxidation state)라고도 한다. 즉, 산화수는 원자가 갖고 있는 가상적인 전하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자의 이동이 없는 홑 원자의 경우 산화수는 0이 된다. 단원자 이온은 그 이온의 전하와 산화수가 같고, 다원자 이온의 경우 원자들의 산화수의 총합은 다원자 이온의 전화수와 같다. 중성 분자의 경우 ...2024.10.09
-
발열반응 흡열반응 이용2024.08.221. 서론 1.1. 실험 배경 및 목적 실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반응물이 생성물이 될 때 열이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의 출입은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여러 화합물을 물 또는 식초와 반응시켜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을 관찰하고, 이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열량과 비열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열량계를 이용하여 화합물이 물에 용해될 때 발생하는 용해열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학반응과 에너지의 관...2024.08.22
-
고체의 비열 측정2024.09.25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열량계를 이용하여 혼합방법으로 고체의 비열을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열량계 내부에 실온의 물과 가열된 시료를 넣어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시료의 비열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체 물질의 열적 특성을 이해하고 비열 측정 실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1.2. 실험 기구 실험 기구로는 열량계, 온도계, 시료(황동, 구리, 알루미늄 등), 비이커, 천칭, 알코올램프가 사용되었다. 열량계는 열적으로 차단된 용기로, 시료와 물을 담아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온도계...2024.09.25
-
원자량 측정 실험2024.09.041. 원자량 측정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은 금속원소를 산화물로 만들어 원자량을 간접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정량의 금속을 산화물로 변화시켜 증가된 질량으로부터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원자량(atomic weight) 원자량(atomic weight)이란 질량수 12의 탄소 동위원소를 기준으로 비교한 원자의 질량을 말한다. 원자의 질량은 그 값이 매우 작기 때문에, 자연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질량수 12의 탄소 동위원소(12C)를 기준으로 하여 나머...2024.09.04
-
공학물리학및실험2025.04.03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열량계를 사용하여 혼합 방법에 의한 고체의 비열을 측정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열량 계산 및 고체의 비열 구하는 법을 익히고,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열량계 내부에 일정량의 물과 용기가 존재할 때, 특정 온도로 가열된 고체를 넣으면 열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열의 이동은 고체에서 물과 용기로 전달되며, 이때 열량의 보존 법칙에 따라 고체의 온도 강하량이 물과 용기의 온도 상승량과 같다. 이를 통해 고체의 비열을 구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고체의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