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 상승과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2025.02.22
1. 체온 상승과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1.1. 고체온(hyperthermia)의 발생 메커니즘 및 영향
패혈증과 같은 감염성 질환이 발생하면 신체의 면역 체계가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고, 이것이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를 자극하여 체온 설정점(set point)이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중심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고체온 상태가 발생한다.
고체온은 신진대사율을 급격히 증가시켜 체내 에너지와 산소 소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심장과 폐 등 주요 장기에 큰 부...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