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연산증폭기2024.10.291. 연산증폭기 기본 원리 1.1. 발진기 발진기는 직류의 입력신호를 주기적 파형을 가진 출력으로 만드는 회로이다. 출력 전압은 발진기의 종류에 따라 사인파 또는 비사인파일 수 있다. 555 타이머는 대표적인 발진기 회로 중 하나이다. 555 타이머는 2개의 비교기, 1개의 플립플롭, 방전 트랜지스터, 전압 분배기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 분배기는 비교기의 기준전압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초기에 커패시터 전압이 낮기 때문에 lower comparator의 출력은 높고 upper comparator의 출력은 낮아 플립플롭의 출력이 ...2024.10.29
-
연산 증폭기 설계2024.12.091. 연산 증폭기의 기본 이론 및 응용 1.1. 연산 증폭기의 정의와 특성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는 덧셈, 뺄셈, 곱셈, 적분 등의 수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이득 직렬 증폭기이다. 전자 기기, 신호 처리, 통신,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구성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연산 증폭기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전압 이득을 가진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무한대이다. 둘째,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므로 입력 단자로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셋째, 낮은...2024.12.09
-
핵심이보이는 전자회로 실험 op amp2024.11.111. 연산 증폭기와 포토레지스터 1.1. 연산 증폭기의 구조와 원리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는 DC전류와 연결된 높은 이득(gain)을 갖는 input과 output 전압을 갖춘 증폭기이다. 오늘날에 가장 많이 쓰이는 전자기기 중에 하나인 연산 증폭기는 아날로그 컴퓨터에서 처음 이용되었고 많은 선형, 비선형 및 주파수 종속 회로에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 증폭기의 구조는 2개의 입력 단자, 1개의 출력 단자, 2개의 전원 공급 단자로 구성된다. 비반전 입력 단자는 +, 반전 입력 단자는 -로...2024.11.11
-
Op amp 비교기2024.12.201. 연산증폭기(Op-Amp)의 특성과 비교기 회로 1.1. 연산증폭기의 기본 특성 1.1.1. 전압 이득 연산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무한대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경우 전압 이득은 무한대로 가정된다. 이는 두 입력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극한까지 증폭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력 전압의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출력 전압은 무한히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연산증폭기는 완전히 이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전압 이득이 무한대가 되지는 않는다. 실제 연산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수만에서 수십만 정도의 유한한...2024.12.20
-
PP^T2024.11.061.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1.1. 실험목적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 실험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미적분기의 동작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산증폭기는 입력전압을 증폭하여 출력전압으로 나타내는 회로로, 이를 이용한 미분기와 적분기의 동작을 파악하고자 한다. 미분기는 입력전압을 미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고, 적분기는 입력전압을 적분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산증폭기 기반의 미분기와 적분기 회로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첫 번째 목적이다. 둘...2024.11.06
-
Op amp2024.09.031. Op-Amp 기본회로 1.1. 반전 증폭기 실험 반전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반대 위상으로 증폭하는 Op-Amp의 대표적인 회로이다. 실험에서는 반전 증폭기 회로를 구현하고,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에서는 R1 = 10 kΩ, R2 = 100 kΩ의 저항을 사용하여 반전 증폭기 회로를 구성하였다. 이때 이득은 AC(Close Loop) = -R2/R1 = -10이 된다. 실험 결과, 입력 전압 5 V를 인가하였을 때 출력 전압은 약 -12.9 V로 측정되었다. 이는 이론상 예상되는 출력 전압 -...2024.09.03
-
연산증폭기2024.09.031. 연산증폭기 기본 특성 1.1.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연산증폭기의 가장 중요한 성능지표 중 하나이다.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입력전압에 대한 출력전압의 비율로 정의되며,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경우 무한대의 전압이득을 가진다. 실제 연산증폭기의 경우 전압이득이 무한대가 아니라 유한한 값을 가지며, 이는 연산증폭기의 설계 및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비선형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은 200V/V 정도의 값을 가지며, 최소 50V/V 이상의 전압이득을 가져야 한다....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