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왓슨의 돌봄이론 실천 방안2024.09.191. 간호윤리와 법 1.1. 비밀유지의 의무와 간호과실 비밀유지의 의무란 간호사가 간호를 통해 알게 된 환자의 비밀을 제3자에게 말이나 문서, 간호기록부를 보여주는 등으로 누설해서는 안 되는 의무이다. 이는 의료법 제19조(정보누설 금지), 의료법 제21조(기록 열람 등)와 형법 제317조(업무상 비밀누설)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비밀유지의 의무에는 예외가 인정되는데, 첫째 본인의 동의가 있는 경우, 둘째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전염병 환자의 전염병 사실을 신고하는 경우, 셋째 정당한 업무행위의 경우(직장 건강검진에서 전염성 ...2024.09.19
-
노인실습 법적윤리적2024.10.131. 의료법상 간호사의 의무 1.1. 주의의 의무 주의의 의무는 의료인이 환자에게 유해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신을 집중할 의무를 의미한다. 이는 구체적인 내용이 설정된 것이 아니며, 사고가 발생한 후에 이를 위반했는지 여부가 검토된다. 주의의 의무는 결과예견 의무와 결과회피 의무로 구성된다. 결과예견 의무란 특정 영역의 통상인이라면 행위 시 결과 발생을 예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간호사는 간호 행위 시 발생할 수 있는 결과를 예견해야 할 의무가 있다. 결과회피 의무는 예견 가능한 위험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회피할 ...2024.10.13
-
간호사의 법적의무와 법적책임과 관련한 사례조사2024.11.201. 간호 업무의 법적, 윤리적 쟁점 및 사례 분석 1.1. 의료사고 및 의료분쟁의 개요 의료사고란 보건의료인이 환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진단·검사·치료·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등의 행위로 인하여 환자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는 입원 중 낙상사고, 투약오류, 수술 실수 등 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를 포함한다. 한편, 의료분쟁은 의료사고로 인하여 환자나 보호자 측과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사이에 상호 이해와 신뢰가 상실되어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즉, 의료사고가 발생한 후...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