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비만 보건교육 보고서2024.11.121. 비만 보건교육 1.1. 서론 1.1.1. 주제 선정 이유 과거부터 비만은 사람들의 질병과 연관되어 합병증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우리의 신체가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실천해야 할 평생의 숙제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생활습관 및 식습관의 변화와 신체활동의 감소 등으로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27% 내외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남성의 경우 2011년 35.1%에서 2021년 46.3%로 크게 증가...2024.11.12
-
지역사회간호학 면담일지2024.12.23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사회의 특성 1.1.1. 지리적 특성 총 면적은 53.02km²이며, 이 중 도시지역의 면적은 12.64km²이고 공원 면적은 2.54km²이다. 이는 지역사회의 전체적인 규모와 도시지역, 녹지지역 분포를 보여준다. 도시지역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공원 면적도 상당한 편으로 주민들의 여가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인구학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2023년 현재 총 인구수는 236,859명이며, 세대수는 100,451세대로 세대당 인구...2024.12.23
-
허리둘레2024.09.021. 서론 1.1. 비만의 정의와 현황 비만은 과도한 체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건강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과체중 인구가 10억 명에 육박하고, 비만 인구만 추산하였을 때에도 약 4억 7,500만 명에 이른다. 국제비만연맹은 현재의 비만 인구 증가추세가 지속되면 2025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비만 환자가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생활환경 변화와 식습관 서구화로 인해 비만 유병...2024.09.02
-
지역사회간호과정 고위험음주율 A2025.03.051. 서론 1.1. 지역사회 특성 울산광역시는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면서 인구가 급증하였다. 당시 20만 명이었던 인구가 40여 년 만에 5배 이상 증가하여 2023년 현재 110만 6446명에 이르렀다. 이는 공업화로 인한 외부 노동 인력의 급속한 유입이 주된 요인이다. 공업화 과정에서 남성 인구의 비중이 높아졌고, 세대당 가족수도 점점 줄어들어 최근에는 3명 이하의 소가족 시대로 접어들었다. 산업별 인구구성을 보면 제조업 종사자가 34.2%로 전국 평균의 두 배에 이르러 울산이 전형적인 제조업 중심 산업도시임을 알...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