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인터스텔라와 그래비티의 과학적 오류2024.09.251. 영화 속 과학적 현상 1.1. 그래비티 영화 <그래비티>에서는 관성의 법칙이 잘 나타난다. 물체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정지한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고, 운동하고 있는 물체는 현재의 속도를 유지한 채 일정한 속도로 운동한다는 관성의 법칙이 영화 속에서 잘 표현되고 있다. 영화 속 우주비행사들이 떠돌아다니는 모습이나 우주 스테이션이 원래의 속도와 방향을 유지하는 것은 이러한 관성의 법칙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우주선이나 우주복 안에서 완벽하게 무중력 상태가 재현되지 않아 일부 과학적 오류가 발견되기도 한다. 이...2024.09.25
-
시간여행 그리고 인터스텔라의 천문학2024.09.251. 시간여행과 인터스텔라 1.1. 서론 많은 책과 영화들에서 '시간여행'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영화 「인터스텔라」 또한 이러한 시간여행을 하나의 주제로서 다루는데, 특이한 것은 이 시간여행이 '웜홀'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영화 「인터스텔라」는 웜홀을 통해 인간이 새롭게 생존 가능한 행성을 찾는 우주여행이 그 주 내용이다. 이를 통해 "웜홀을 통해서 시간여행이 실제로 가능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한 것이 본 글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1.2. 차원(Dimension) 차원이란 수학에서 공간 내에 있는 점 등의 위치를...2024.09.25
-
북극성은 우주중심2024.10.011. 우주관의 역사 1.1. 천동설의 발전 1.1.1. 에우독소스 에우독소스는 플라톤의 우주 모형에서 두 가지를 수정하여 자신의 이론을 만들었다. 하나는 행성의 순서이고 하나는 '수정 천구'를 도입한 것이다. 플라톤의 우주 모형에서 행성의 순서는 지구, 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순이었지만 에우독소스는 지구, 달,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 순으로 바꾸었다. 금성과 수송을 태양 궤도 안에 배치한 것인데 이것은 천동설 천체 모형의 기초가 되었다. 에우독소스는 각각의 단순한 주기적 운동을 설명하기 ...2024.10.01
-
영화비평문2024.12.021. 영화 비평문 작성 1.1. 영화 "그녀(her)" 1.1.1. 영화 정보 및 줄거리 2013년에 개봉한 영화 「그녀(her)」는 스파이스 존즈가 각본과 감독을 맡았고, 호아킨 피닉스, 에이미 애덤스, 루니 마라, 올리비아 와일드, 스칼렛 요한슨이 출연하였다.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의 남자주인공 테오도르는 편지를 대신 써주는 대필작가로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진실된 감정을 담은 편지를 쓰고 있지만, 정작 자신은 이혼의 상처로 매일 밤 잠 못 들며 괴로워한다.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채팅앱을 사용해보기도 하지만 공허...2024.12.02
-
인터스텔라 감상문2025.02.141. 소개 <독후감> "인터스텔라(Interstellar)"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2014년 작품으로, 과학적인 요소와 인간의 감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심도 깊은 SF 드라마이다. 이 영화는 미래 지구가 직면한 식량 위기로 인해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한 아버지가 자신의 가족과 이별하며 우주 탐험에 나서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는 과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블랙홀, 웜홀, 시간의 상대성 등 다양한 과학적 개념들을 활용하면서도, 주인공 쿠퍼와 그의 딸 머피 사이의 특별한 유대 관계를 중심축으로 삼는다. 이를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