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공중보건학요약2024.10.211. 공중구강보건학 1.1. 공중구강보건학의 개념 1.1.1. 공중구강보건학의 정의 공중구강보건학은 일정한 지리적 영역에서 공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들이 조직적인 공동노력으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고 실용하는 실용과학이다. 즉, 공중구강보건학은 지역사회 주민이 구강건강을 증진·유지하기 위하여 구강질병을 예방하고 발생된 구강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1.1.2. 지역사회 구강보건학과 개별구강진료의 차이점 지역사회 구강보건학은 일정한 지리적 영역에서 공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2024.10.21
-
보건교육학 생애주기별2024.10.211. 보건교육 계획안 1.1. 대상자 대상자는 00시 00동 예**어린이집 6세반 15명이다. 정기적인 구강관리가 필수적인 시기로, 대상자들은 충치가 가장 많이 생기는 시기인 만 6세에서 9세에 해당한다. 또한 약 6세부터 영구치가 자라나기 시작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영구치 충치의 경험률이 만 20세무렵 90%에 이를 정도로 예방처치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충치 예방을 위해 올바른 양치질과 식이 조절, 정기적인 구강검진 및 불소도포 등 생애주기 중 아동기의 적절한 구강관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1.2. 학...2024.10.21
-
공중구강보건학2024.10.121. 서론 1.1.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 1.1.1. 지속적인 구강건강 수준의 향상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은 감소 추세이지만 선진국보다는 열악한 수준이다. 2020년까지 영구치(12세) 우식경험 치아수 1.6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구치 우식증은 만 6세부터 증가하여 20세 무렵에 이르면 90%이상이 경험하고, 65세 이상의 노인연령에 이르면 90%를 상회하는 등 대다수의 국민들이 경험하므로 우식발생 전에 예방적 진료가 필요하다. 또한 치주질환은 1970~1980년대에 칫솔질 등 개인구강위생관리법의 보편...2024.10.12
-
공중구강보건학2024.09.101.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 1.1. 지속적인 구강건강 수준의 향상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은 감소 추세이나 선진국보다는 열악한 수준이다. 2020년 까지 영구치(12세) 우식경험 치아수 1.6개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영구치 우식증은 만 6세부터 증가하여 20세 무렵에 이르면 90%이상이 경험하고, 65세 이상의 노인연령에 이르면 90%를 상회하는 등 대다수의 국민들이 경험하므로 우식발생 전에 예방적 진료가 필요하다. 치주질환은 1970~1980년대에 칫솔질 등 개인구강위생관리법의 보편화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의 치주질...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