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한국어 음운 변화와 음절 구조 제약2024.09.201. 음운 변화와 음운 변동 1.1. 음운 변화와 음운 변동의 개념 음운 규칙(phonological rule)은 모국어 화자들의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추상적인 음운 정보가 실제 음성으로 출력되는 과정에 적용되는 음운의 변화과정에 관한 규칙이다. 예를 들어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음운 정보는 '국물'이지만 실제 말소리는 [궁물]로 출력된다. 하지만 모국어 화자들은 [궁물]이라는 발음을 들어도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음운 정보는 '국물'인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는 통시적인 변화를 음운 변화(phonologial c...2024.09.20
-
배움 한국어교원 실습 교재 및 문형 선정2024.10.061. 교재 및 문형 정보 1.1. 교재 정보 1.1.1. 세종한국어 3B 어휘 표현과 문법 세종한국어 3B 어휘 표현과 문법은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교재로,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교재는 어휘, 표현, 문법 등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이 교재는 전반적으로 중급 수준의 어휘와 표현을 다루고 있다.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어휘와 연어 표현, 관용어 등을 학습할 수 있다. 특히 주제 중심으로 구성된 단원 구조를 통해 주제별 어휘와 표현을 체계적으로 익힐...2024.10.06
-
한국어교원 교재 및 문형선정2025.01.061. 문형 선정 및 활용 1.1. 문형 정보 1.1.1. 문형 선택: -(으)ㄹ까요? -(으)ㄹ까요?는 동사와 형용사에 결합하여 미래의 상황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청자의 의견을 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문형이다"". 동사의 경우 어간에 받침이 있으면 '-을까'를,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면 '-ㄹ까'를 붙여 활용한다"". 또한 '이다, 아니다'와 결합할 때는 '-ㄹ까'를 사용하는데, 명사 뒤에 '이-'가 오는 경우에는 '명사+-ㄹ까'로 쓰기도 한다"". 불규칙 동사의 경우에도 '-ㄹ까'로 활용한다"". 부정문은 '-을까...2025.01.06
-
중세국어2024.08.291. 중세국어 문법 1.1. 문자와 문헌 중세국어의 문자와 문헌은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 시기의 대표적인 문자인 훈민정음은 1443년(세종 25년) 12월에 창제되었다. 훈민정음은 중국의 문자와는 달리 우리말의 소리를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자신들의 뜻을 잘 펼칠 수 없었음을 불쌍히 여겨 스물여덟 자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이는 백성들이 날로 쉽게 쓸 수 있게 하려는 실용정신에 기반한다. 해례본에는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기본자의 원리, 그리고 문자의 운용 방법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