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부경대학교 분쇄2024.10.131. 분쇄 1.1. 분쇄의 정의 분쇄란 고체 물질을 기계적인 힘을 가해서 입자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다. 고체 물질을 잘게 부수는 기계적 조작을 분쇄라고 하며, 분쇄하는 원료를 쇄료(분쇄재료), 그 제품을 쇄제물이라고 한다. 분쇄에서 취급하는 쇄료 또는 쇄제물의 크기는 수 10cm에서 수 μm 이하까지 있으며, 크기의 정도에 따라 조제, 중간분쇄, 미분쇄, 초미분쇄로 구분한다. 1.2. 분쇄의 이점 공장이나 실험실에서는 여러 가지 기계나 기구를 써서 원료, 중간품 또는 완제품 등 고형물을 분쇄하는 일이 많은데, 이는 분쇄에 의해 다...2024.10.13
-
분쇄 실험2024.11.181. 분쇄 1.1. 분쇄의 정의와 목적 분쇄는 고체 입자를 기계적으로 작게 부수거나 잘라내는 조작을 말한다. 분쇄의 목적은 고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연소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게 하거나, 건조나 추출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입도를 작게 함으로써 고체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분쇄되는 원료의 크기는 수 10cm에서 수 μm 이하까지 다양하며, 이를 조분쇄, 중간분쇄, 미분쇄, 초미분쇄로 구분한다. 1.2. 분쇄의 원리 고체를 분쇄하는 원리는 압축(compression), 충격(impact), 마모(wear), 절단(f...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