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동화치료2024.09.191. 동화치료의 개념과 가치 1.1. 동화치료의 개념 동화치료의 개념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을 바탕으로, 인간의 심리를 동화와 연관지어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화는 언어를 통해 삶의 본질을 인식하는 첫 통로를 마련해 주며, 감정 이입을 통해 대리 경험의 세계를 전개하여 삶을 변화시키는 힘을 인간에게 준다. 즉, 동화치료는 이야기 속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거나 현실과 구분 없이 작품세계를 투사하여 의사소통하고 행동함으로써, 자신과 타인 혹은 세상을 새로운 시각에서 발견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2...2024.09.19
-
성격심리학 주요 이론 요약 보고서2024.10.011. 성격심리학 이론 1.1. 융의 분석심리학 1.1.1. 개요 융의 분석심리학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융의 분석심리학은 의식과 무의식 간의 관계를 확립하고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역사를 통해 발달해 온 정신과 문화적 영향을 기반으로 형성된 정신적 소인을 강조한다. 이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차이를 보이는데, 리비도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난다. 프로이트가 리비도를 성적 에너지로 보았다면, 융은 일반적인 생활 에너지로 본다. 또한 프로이트가 과거의 사건과 경험에 주목했다면, 융은 무엇을 하고자 하는가에 초점...2024.10.01
-
인류의그림자2024.09.191. 서론 심리학자 칼 융의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페르소나와 그림자 이론은 누구나 겪는 자아, 무의식, 내적 갈등의 주제이다. 융은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충동과 여러 심리적 요인 속에서도 페르소나와 그림자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페르소나와 그림자는 부정적으로 인한 편협한 자아 감정이 아니므로 인간은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자율과 창조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 프로이트와는 다른 내용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탄생시켰다. 우리는 실제로 페르소나와 그림자에 의해 자신의 재능과 개성이 상실됐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임을 융이 자...2024.09.19
-
칼 구스타브 융의 자기와 자기실현2024.10.091. 서론 분석심리학자 칼 구스타프 융(1875-1961)은 S. 프로이트(1856-1939)나 다른 어느 심층 심리학자들보다 종교적인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가 종교라고 생각했던 것은 우리가 보통 종교라고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는 종교라는 단어에서 기독교나 불교, 이슬람교 등 어떤 특정한 종파를 의미하거나, 그 교단들에서 믿고 있는 신조(credo)를 가리켰던 것이 아니다. 오히려 사람들이 신(神)이라고 부를 수밖에 없는 어떤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를 체험하고, 그 결과 사람들...2024.10.09
-
이부영의 자기와 자기실현, 꿈에서 나타난 개성화 과정2024.10.091. 분석심리학과 자기실현 1.1. 분석심리학의 기본 가정 분석심리학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심리학은 체험에 근거한 심리학 이론이다. Jung은 정상인과 정신장애 환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관찰하고 자신의 마음을 깊이 살펴본 경험을 토대로 이론을 엮었다. 따라서 분석심리학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에 기반을 둔 이론으로, 객관적 사실이나 절대적 진리에 대해 말하고 있지는 않다. 대신 개인의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실과 경험에 초점을 맞출 뿐, 그것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않는다. Jung은 "...2024.10.09
-
대인관계와 성숙한 삶 분석과 감상문 작성2024.11.081. 자아와 대인관계 1.1. 자기 이해와 성찰 자기 이해와 성찰은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개인은 자신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고 성찰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책 '기억, 꿈, 사상'에서 저자 카를 융은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며 자기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융은 어린 시절부터 자신의 무의식에 대한 탐구와 관심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 세계를 깊이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과 깨달음을 바탕으로 분석심리학을 창시했는데, 이는 인간 무의식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2024.11.08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차이점2024.12.211. 서론 오늘날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한 분야이다. 그리고 인간과 동물의 행동이나 정신 과정에 대해 다양한 질문의 답을 찾는 과학이론 중 하나가 바로 심리학이다. 심리학이란 영혼에 대한 탐구라고 할수 있으면 이러한 심리학의 정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심리학이 과학으로 등장하게 된 19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비로서 "정신과학"으로 인정받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런 심리학에는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심리학이론으로서 프로이트의 정신분...2024.12.21
-
칼융의 개성화 과정 소논문2024.12.121. 헤르만 헤세 (1877-1962) 1.1. 생애 헤르만 헤세는 1877년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의 소도시 칼프에서 선교사 요하네스 헤세와 저명한 인도학자의 딸인 마리 군데르트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요하네스는 신교의 목사였고, 어머니 마리는 인도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인도로 돌아가 그곳에서 영국인 선교사와 결혼했으나, 그와 사별한 후 요하네스와 재혼하여 헤세를 낳았다"" 헤세는 4세부터 9세까지, 한때 스위스의 바젤에서 지낸 것 외에는 대부분 칼프에서 지냈다"" 1890년 신학교 시험 준비를 위해...2024.12.12
-
융의페르소나와그림자 프로이드이론기반으로오나리 인물분석인물분석2024.11.061. 서론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은 20세기 초 대표적인 심리학자 중 한 명인 칼 융(Carl Gustav Jung)에 의해 개발되었다.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학 이론을 바탕으로 발전한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무의식, 성격 구조, 그리고 인간의 자기실현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융은 인간의 심리적 발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 그리고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특히, 융은 인간의 무의식이 개인의 경험과 집단적 경험으로 구성된 복잡한 체계라고 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다...2024.11.06
-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과 차이점2024.11.271. 서론 정신분석학에 있어서 융과 프로이트는 떨어질 수가 없는 불가분의의 관계로 아직 계속 그의 이론들은 활용이 되어지고 있다. 프로이트는 1차대전 후에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기 시작하였으며, 정신 분석학은 정신 의학 혹은 사회 과학 뿐 아니고 문학, 교육, 윤리학, 미술과 같은 분야에서 또한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잠재의식' 혹은 '자아'라는 말은 일상적 말이 되었다. 많은 인간들은 아동이 성적인 속성을 갖고 있다라는 주장에 충격을 받았으며, 정신 분석 이론에 대한 공격은 프로이트의 생애 동안에 계속 되었다. 게다가 융과 아들...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