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쌍태임신 간호진단2024.09.201. 다태임신 1.1. 정의 다태임신은 한 번에 둘 이상의 태아가 임신되는 경우를 말한다. 태아의 수에 따라 쌍태, 삼태, 사태 등으로 호칭된다. 출산 연령이 높아질수록 쌍태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4세 이하군의 쌍태아 분만율은 1.0%, 25~29세군 1.3%, 30~34세군 1.7%, 35~39세군 2.2%로 증가하였다. 다태임신은 조기 진통이나 임신중독증 등과 관련된 조산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위험 임신에 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태아의 정상적인 발육 및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단...2024.09.20
-
산전관리와 건강한 발달 문제2024.10.081. 서론 임신은 정상적인 생리 과정이지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중요한 시기이다. 임부와 태아의 건강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기적인 산전 관리이다. 간호사는 산전 관리에서 특히 간호 사정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임신기간은 계속 임부와 태아의 건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임부는 산전 관리를 통해 임부와 태아 건강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산전 간호는 모체와 태아의 안녕과 건강을 목적으로 행해져야 하며 산전 방문 시 신체적, 사회심리적으로 임부를 사정하고 임부나 태아 건...2024.10.08
-
임신성 당뇨 불안2024.10.161. 임신성 당뇨병 1.1. 정의 임신성 당뇨병이란 원래 당뇨병이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 중 호르몬의 변화와 생리적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임신 중에는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산모의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정상적으로 극복하지 못하면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 발견되는 당뇨병으로, 출산 후에는 대부분 정상 혈당으로 돌아온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임신성 당뇨...2024.10.16
-
amelia sung 1002024.10.031. 환자 정보 요약 Amelia Sung은 36세 필리핀 여성으로, 산과력 G2-P1-L1이다. 3년 3개월 전 남아를 3.34kg으로 질식 분만한 병력이 있다. 이번 임신 39주에 유도 분만을 위해 입원하였다. 키 157cm, 몸무게 83kg으로 비만한 편이며, 조개 알레르기가 있다. 입원 당시 경부 개대 2cm, 80% 소실되어 있었고, 태아 선진부 하강 정도는 -1이었다. 3시간 후 자궁경부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태아가 분만되지 않아 분만 2기가 지연되었다. Amelia Sung은 계속되는 자궁 수축과 오랜 시간 동안의 힘 주...2024.10.03
-
비효과적 대처2024.11.19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불안, 우울, 공포감, 두려움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버스 타고 집에 가고 있었는데...갑자기 무섭고 불안해요", "앞으로 어떻게 해야 되는지 모르겠어요. 너무 불안해요",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 때문에 너무 불안해요", "밖에 외출하는 것이 너무 불안하고 무서워요" 등의 주관적 호소를 하였다.""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이유 없이 불안하고 우울한 증상이 시작되었고 불면, 무기력, 심계항진, 불안 상태 시 손 떨림과 호흡 장애 등이 생겨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았다고 한다." 1.2. 객관적 ...2024.11.19
-
분만 후 임산부 간호과정 및 진단 케이스 연구2024.11.121. 자연분만 케이스 1.1. 문헌고찰 1.1.1. 정의 자연분만(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은 임신 38~42주 사이에 정상적으로 질을 통해 인공적인 도움 없이 임부의 자연적 분만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만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분만 방식이다. 임신 기간 동안 정기적인 산전 관리와 건강한 임신 상태를 유지해 왔다면, 자연분만을 통해 정상적이고 안전한 분만이 가능하다. 1.1.2.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의 전구증상은 다음과 같다. 태아의 머리가 골반강 내로 들어가면서 복부팽만과 횡격...2024.11.12
-
양수과다증2024.09.031. 양수과다증(Hydramnios) 1.1. 정의 양수과다증(Hydramnios)은 성분은 정상이나 양수의 추정량이 2,000m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임부의 약 3%에서 발생하며 경산부에서 높게 발생한다. 정상적인 임신 말기의 양수량은 800~1,200ml이다. 1.2. 원인 및 유발요인 양수과다증의 원인 및 유발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아의 연하와 배설의 불균형으로 인한 경우이다. 즉, 태아의 선천적 식도폐쇄, 십이지장폐쇄증 등의 상부소화기 폐쇄증이나 뇌수종, 무뇌아, 개방성 척추이분증 등 태아의 질환으로 양수를 먹...2024.09.03
-
고위험산모2024.09.051. 고위험 임산모 1.1. 임신성 고혈압 1.1.1. 임신성 고혈압 상태 분류 임신성 고혈압 상태 분류는 다음과 같다. 임신성 고혈압은 단백뇨 없이 과거에 혈압이 정상인 부인이 임신 20주 이후에 고혈압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나 산욕초기에 과거에 정상인 부인이 단백뇨와 고혈압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자간증은 자간전증 부인에게 경련과 혼수가 발생하는 상태이다. 또한 현재 고혈압을 앓는 부인이 자간전증이나 자간증이 발생하는 경우를 superimposed preeclampsia or eclampsia라고...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