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언어와 연극2024.09.101. 교육연극의 이해 1.1. 교육연극의 정의와 개념 교육연극은 연극을 교육방법의 매개로서 현장에서 활용하여 교수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즉 교육연극은 연극을 교육방법의 매개로써 교육현장에 응용, 활용하여 크게 두 가지 교수효과를 극대화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첫째는 자아개발(self-development)을 통한 사회화 교육이며, 둘째는 모든 과목의 교육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교육연극은 연극을 잘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으로 놀이할 수 있는 타고난 능력을 발현시켜 참여자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유도하는 ...2024.09.10
-
An outline of american literature2024.10.131. 20세기 초 미국 문학의 변화 1.1. 청교도주의의 종식과 인간의 성적 욕망 표현 1910년대에는 미국 문학에 있어서 청교도주의에 대한 공격이 일어났다. 이전까지 미국 소설은 지나치게 도덕적이었다고 비판받았는데, 이는 인간의 성적 욕망과 관련된 진실이 배제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미국의 청교도주의적 도덕관은 성에 대한 진실을 숨기고 이에 대한 표현을 금기시했었다.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과 시오도어 드라이저(Theodore Dreiser)는 이러한 청교도주의적 도덕체계를 무너뜨리기 시작한 대표적인 작가들이다...2024.10.13
-
absurd theatre2024.09.301. 실존주의와 부조리극 1.1. 실존주의의 배경과 개념 실존주의의 배경과 개념은 다음과 같다. 플라톤 이래 서양철학은 우주와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쪽으로 깊이를 더해왔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 마르셀, 사르트르, 야스퍼스, 카뮈 등의 실존주의 철학자들이 볼 때, 이는 정작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사변적 관념적으로 흐른 경향이 있었다. 실존주의는 시대적으로는 2차 대전의 전무후무했던 대량학살, 특히 나찌에 의한 광기를 직접 경험한 유럽의 지식인들이 인간 이성에 대한 신뢰를 잃고 좌표없이 표류하는 상황과 관련이 ...2024.09.30
-
absurd theatre 드라마 용어2024.09.301. 연극의 역사와 흐름 1.1.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연극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연극은 서양 연극의 기원이 되는 중요한 시기였다. 그리스 연극은 기원전 6세기경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유래하였는데, 당시 합창단의 노래와 춤을 중심으로 하는 제의적 성격의 연극이 발전하였다. 기원전 5세기에 이르러 아테네를 중심으로 비극과 희극이 등장하였는데, 대표적인 비극 작가로는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유리피데스가 있으며, 희극 작가로는 아리스토파네스가 유명하다. 그리스 연극은 극적 갈등, 합창, 가면, 무대 장치 등의 연극적 기법을 발전시...2024.09.30
-
proscenium arch2024.09.301. 미장센(Mise en Scene) 1.1. 미장센의 개념 미장센(mise en scène)은 원래 프랑스 연극 용어로서, '무대 위에 배치한다'는 뜻이었다. 이는 무대라는 주어진 공간 안에서 연극 제작에 필요한 모든 시각적 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연기가 행해지는 영역은 무대를 둘러싸는 프로시니엄 아치(Proscenium Arch)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회화의 프레임과 같다. 연기의 범위는 때로는 좀 더 유동적인 것으로서 객석까지 확장되는 경우도 있다. 무대의 범위에 관한 정의가 무엇이건 간에 그것의 화면 구성은...2024.09.30
-
고도를기다리며2024.12.081. 소설 고도를 기다리며 1.1. 작품 소개 사무엘 베케트의 소설 '고도를 기다리며'는 세계 2차 대전 시기에 쓰여진 현대 전위극의 고전으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두 명의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알 수 없는 "고도"라는 인물을 계속해서 기다리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가는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을 단순한 "기다림"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기다림 속에서 인간 존재의 부조리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196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작가 사무엘 베케트의 대표작이자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