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노인 인권교육2024.09.141.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정의 1.1. 도입 기본적으로 사회적 약자들 중에서 내가 제일 관심을 가지는 대상들은 바로 아동이다. 다른 청소년이나 노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은 물론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대상들이 많지만 나는 보호자가 없으면 살아갈 수 없는 피보호자이자 가장 사회적 약자 위치에 있는 아동들에게 많은 관심이 갔다. 이는 실제로 나의 자녀들을 양육하면서 더더욱 아동학대에 예민해져야 하고 또 실제로 어린이집과 같은 자녀들을 맡길 기관을 찾으면서 갖게 된 경각심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아동들...2024.09.14
-
노동 인권 교육2024.12.301. 한국의 불평등에 대한 분석과 개선안 1.1. 서론 얼마 전 세계적으로 베스트셀러 목록에 동시에 이름을 올리면서 유명해진 책이 있다. 마이크 센델의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인데, 한국에서는 어떤 예능 프로그램에서까지 "연예인 ㅇㅇㅇ가 읽는 책", "심지어 ㅇㅇㅇ도 관심 있는 책" 등으로 소개되며 인기몰이를 한 적이 있다. 물론 지금도 대형 서점의 서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책이니 그 인기를 실감하기란 어려운 일이 아닌 듯 하다. 왜 이렇게 그 책이 인기를 끌 수 있었을지 생각하면, 일견 지루하고 재미없게 느껴지...2024.12.30
-
국민 행복지수는 북유럽국가들에 비해서 낮은 편인이유2024.10.181. 소득 불평등과 복지국가 1.1. 소득 불평등의 현황과 원인 1.1.1.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 현황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체너리(H.B. Chenery) 교수에 따르면 지니계수가 0.5 이상이면 고불균등국가, 0.5에서 0.4 사이면 중불균등국가, 0.4 미만이면 저불균등국가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지니계수가 0.4 이상이면 높은 축에 속하며, 0.35 이하이면 낮은 것으로 본다. 통계청에서 전입소득을 기준으로 도출한 우리나라의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지니계수 변화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