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탁도2024.10.071. 탁도(Turbidity) 1.1. 탁도의 정의 탁도는 물의 혼탁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 속에 존재하는 부유물질의 양을 나타낸다. 부유물질은 진흙, 오물, 화학적 침전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로 인해 물이 흐리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부유물질의 크기는 콜로이드 상태부터 거친 부유물질까지 다양한 범위를 가지고 있다. 탁도는 이러한 부유물질의 양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물질의 크기와 표면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정제한 백도토(정제 카올린)가 62~74㎛의 입자 1㎍을 물 1L에 포함할 때의 탁도를 1도(또는 1...2024.10.07
-
부유물질실험2024.10.201.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1.1. 실험 목적 오염된 물의 수질을 표시하는 지표인 부유물질의 양을 알 수 있게 하고, 하천 등의 자연수역에 방류된 부유물질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을 통해 부유물질의 오염 부하량을 산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주된 목적이다"." 또한 시수의 여과 전후 여과지 무게차를 통해 시수 중의 총부유물질의 양을 알 수 있게 하는 것도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고형물(Solid) 고형물(Solid)이란 시료수를 아무런 전처리 없이 105도에서 증발시켰을 때 ...2024.10.20
-
용존산소량과 해양 생태계2024.11.201. 플랑크톤 1.1. 플랑크톤의 정의 플랑크톤이란 바다에 부유하는 생물들로, 담수나 해수에서 물의 흐름에 거슬러 능동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수중에 떠 있거나 표류하는 동물, 식물, 세균 등을 일컫는 말이다"." 떠살이 생물이라고도 하며, 미약한 이동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류나 유영생물과는 구분된다"." 1.2. 플랑크톤의 종류 플랑크톤은 생물의 분류 그룹에 따라 크게 식물성 플랑크톤, 동물성 플랑크톤, 박테리아성 플랑크톤으로 나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수층에 부유하는 식물성 부유조류를 가리킨다"" 동물성 플랑크...2024.11.20
-
수질화학 실험 고형물질 측정 보고서2024.12.081. 수질화학 및 실험 고형물질 1.1. 실험목적 물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고, 인류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자원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용도에 따른 수질기준에 적합한 수질검사를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이번 실험의 주제는 고형물질이다. 고형물질이 많으면 액체의 탁도가 높고 음용수의 경우 심미적인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하/폐수 처리장에서 처리 시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수질오염의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 또한 먹는물 수질기준, 방류수 기준 등 수질기준에서 기준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고형...2024.12.08
-
수질정화2024.08.311. 습지와 수질정화 1.1. 습지의 자연정화 기능 습지는 물의 장기간 정체 또는 불 투수 흐름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지역으로, 자연적으로 수질을 정화시키는 '자연의 콩팥'이라고 불린다. 습지의 자연정화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습지는 물속의 부유물질을 여과하고 퇴적시켜 수질을 개선한다. 습지 내 식물의 지상부와 지하부는 유속을 낮추어 부유물질의 침전을 유도하며, 식물체의 뿌리와 줄기가 물속의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둘째, 습지는 수중의 영양염류를 흡수하여 수질을 정화한다. 습지 식물의 뿌리와...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