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경험기술서2024.09.181.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1.1. 의례생활 1.1.1. 제사 원래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기차는 대전이 아닌 부여를 거쳐서 갈 예정이었다. 하지만, 부여에 사는 많은 문중 사람들이 극구로 반대하여 부여가 아닌 대전으로 가게 하였다. 그 정도로 부여는 선비의 후예라 자부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이 사는 동네였다. 실제로 우리 할아버지는 기차가 생긴다고 할 때 가문사람 모두를 동원하여 반대를 하였다. 하필, 기차가 지나가기로 한 곳이 우리 선산과 매우 가까웠기 때문이었다. 당시, 할아버지와 할아버지 가문 사람들에게는 무덤을 옮기는 것 ...2024.09.18
-
철기국가2024.09.061.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문화 발전 1.1. 청동기의 보급과 발전 청동기의 보급과 발전은 한반도에 커다란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다. 신석기 시대를 이어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10세기경에 청동기 시대가 개막되었다. 이는 만주 지역보다 약간 늦은 시기였다. 청동기 시대가 도래하면서 생산 경제가 발달하고 청동기 제작 기술과 관련된 전문 장인이 출현하였다. 또한 사유재산 제도와 계급 사회가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청동기 시대의 유적은 중국 동북지방과 한반도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2024.09.06
-
우리나라의 육류역사2024.09.101. 역사 속의 육류 문화 1.1. 서론 최근 폭등하는 물가로 인해, 식재료에 대한 소비의 부담이 커지며 삼겹살 한 근이 폭등한 물가를 상징하는 일이 나타나기도 한다. 경제 발전의 위축은 자연스레 서민의 지갑을 얇게 만들고 있다. 언제부터 삼겹살이 우리의 생활지표를 나타내게 되었을까. 사실, 삼겹살은 저렴하게 서민들이 육류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위였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육류를 그리 즐기지 않으며, 채식 위주의 식단만을 해왔다는 것인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아마도 조선시대 농경 중심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