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호흡기계질환2024.11.051. 서론 호흡을 하는 것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아주 쉬운 일이나 일반 병에 걸리거나 폐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그때에는 숨 쉬는 것이 매우 힘들어 지고 고통스럽기도 하다. 호흡은 곧 생명이므로 끊임없이 이어져야 하고 우리는 잠시도 호흡을 멈추고 살수 가 없다. 이러한 인체의 기본이 되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호흡기계의 질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2. 호흡기계 질환의 개요 2.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는 체내에서 산소를 공기 중에서 받아들여 혈액에 전달하고, 혈액 중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배출하...2024.11.05
-
ENT ESS2024.11.251. 이비인후과 수술 및 간호 1.1. 귀 수술 1.1.1. 유양돌기 절제술(Mastoidectomy) 유양돌기 절제술(Mastoidectomy)은 만성 중이염인 경우에 중이의 유양돌기의 병소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수술은 크게 단순 유양돌기 절제술, 변형근치 유양돌기 절제술, 근치 유양돌기 절제술로 나뉜다. 단순 유양돌기 절제술은 유양돌기와 외이도가 완전한 상태일 때 감염된 유돌봉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변형근치 유양돌기 절제술은 이소골과 고막이 완전한 상태일 때 유돌봉소와 외이도 후벽을 제거하는 수술이며 청력을 복원시키기 ...2024.11.25
-
부비동염2024.10.181. 만성 부비동염(Chronic Sinusitis) 1.1. 정의 부비동(paranasal sinuses)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들은 작은 구멍(자연공)을 통해 코 속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부비동 내의 공기의 환기 및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진다. 부비동염(부비동 감염)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질병의 기간이 4주 미만일 경우에는 급성 부비동염, 3개월 이상 ...2024.10.18
-
급성부비동염 간호진단2024.10.181. 서론 1.1. 질환 개요 부비동은 얼굴 뼈 속의 공기로 채워진 빈 공간을 의미한다. 부비동의 역할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음성의 공명, 외부에서 들이 마시는 공기에 대한 가습, 비강 내의 압력 조절, 그리고 두개골을 가볍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비동염이란 부비동 내부를 덮고 있는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대부분 비염에 속발하며, 비염 없이 부비동염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코부비동염'이라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부비동염은 증상과 기간에 따라 '급성 ...2024.10.18
-
성인 급성부비동염 간호진단2024.10.181. 급성 부비동염과 급성 기관지염 사례 연구 1.1. 서론 이 급성 부비동염과 급성 기관지염 사례 연구는 코로나의 여파로 인해 환아가 많이 줄었고, 중증도 높은 환자들은 없었지만 급성 상악동염(부비동염)에 걸린 환아들이 많이 있었기에 선정된 주제이다. 이 케이스 연구에서는 부비동염에 관한 문헌고찰을 하여 대상자의 양상과 비교해보고, 그에 적합한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효과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도록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 아동실습을 하게 된 OO병원 본관 O병동(소아청소년과)은 영아부터 청소년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2024.10.18
-
창상평가2024.08.261. 외상 응급환자 간호 1.1. 외상 환자의 초기 처치 1.1.1. 1차 평가 및 처치(ABCD; Primary survey) 외상 환자의 1차 평가 및 처치(ABCD; Primary survey)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하고 처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경추부 고정 및 기도 확보(Airway maintenance)에서는 기도를 폐쇄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안면부, 하악골, 기관이나 후두의 골절 여부를 평가한다. 의식 수준이 GCS 8점 이하일 경우 기관 삽관이나 외과적 기도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경부...2024.08.26
-
아동간호 기관지 질환 정리, 호흡계 질환 정리2024.10.121. 호흡기 감염 질환 1.1. 비인두염(nasopharyngitis) 1.1.1. 정의 및 특징 비인두염(nasopharyngitis)은 아동에게 가장 흔한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연평균 3~8회 발생하며 "감기", "급성 비염", "코감기"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비인두염은 주로 비인두 점막의 염증으로 발생하며, 합병증으로 중이염, 하부기도 감염, 부비동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비인두염의 대부분은 다른 아동으로부터의 전염을 통해 발생하며, 주요 원인 병원체로는 rhinovirus, coxackievirus, respirat...2024.10.12
-
상악동염 아동케이스2024.11.13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요즘 같이 추운 날씨에 코로나와 더불어 인플루엔자(influenza), 감기 등 호흡기 질환이 유행하고 있다. 어린 아동들이 대부분 열, 기침, 콧물 등 감기 증상들로 인해 병원에 오는 추세이다. 아동은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매우 약하며 여러 질병과 감염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다. 이렇듯 추운 겨울철에 아동이 쉽게 걸리는 호흡기 질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공부하기 위하여 급성 상악동염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상악동염의 원인, 진단, 치료 등을 알아보고 환아에게...2024.11.13
-
갑상선절제술로봇2024.11.111. 갑상선암 1.1. 정상 해부 및 생리 갑상선은 신체에서 가장 큰 내분비샘 중의 하나로, 기관을 둘러싸고 있다. 두 개의 엽으로 나누어져 있어 '나비 모양'으로 많이 지칭되며, 울대의 2~3cm에 위치하여 있다. 성인의 경우 갑상선의 무게는 약 15~30g 정도이다. 갑상선의 동맥에는 외경 동맥으로부터 뻗어나온 상갑상선동맥과, 쇄골하동맥으로부터 뻗어나온 하갑상선동맥이 있다. 수많은 정맥과 림프에서는 여러 방향으로 혈액이 빠져나간다. 그리고 갑상선 주변의 신경으로는 반회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이 있다. 갑상선은 여러 개의 소엽으로 ...2024.11.11
-
급성부비동염 케이스2024.11.191. 급성 기관지염 및 급성 부비동염 사례 연구 1.1.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1.1.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은 폐의 기관지 염증으로 인해 기관의 점막이 붓고 점액이 많아지는 질환이다. 주로 상기도감염 후에 발생하므로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쉽게 상기도 감염에 걸리는 소아에서 호발하는 경향이 있다. 그 외에도 인플루엔자, 백일해, 홍역,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성홍열 감염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급성 기관지염의 대부분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상기도감염 후 발생하지만, 세균 감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주된...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