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구강해부학2024.09.131. 구강 및 두경부 해부와 생리 1.1. 두개골의 구조와 기능 1.1.1. 뇌두개골 뇌두개골은 두개골의 일부로, 신경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뇌두개골은 두정골, 측두골, 전두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 등 6종류의 8개 골로 구성되어 있다. 두정골은 두뇌를 덮는 가장 넓은 부분으로, 두개관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측두골은 귀 주변 부위에 위치하며, 내이와 중이를 포함한다. 전두골은 이마 부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안와와 접두골을 포함한다. 후두골은 뒤통수 부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목뿌리 부분과 연결된다. 접형골은 ...2024.09.13
-
구강해부학2024.09.181. 구강 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에는 관상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이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1.2.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용어 내측(안쪽)이란 몸의 정중면과...2024.09.18
-
기체교환2024.10.021. 호흡기계 해부생리 1.1. 상부호흡기계 1.1.1. 비강 비강은 코 안을 이루는 공간으로, 코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구분된다. 비강은 들숨과 날숨의 주요 통로이며, 호흡 시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강 내부는 점막으로 덮여 있는데, 이 점막에는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다.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은 이 점막에서 여과되고, 점액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비강의 점막에는 섬모상피세포가 존재하여 이물질을 인두 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2024.10.02
-
구강해부학2024.10.021. 구강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이나 머리를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가상의 절단면이다. 관상면(전두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수평면)의 4종류가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수평적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몸의 구조와 장기를 관찰하고...2024.10.02
-
성인간호 호흡기계 문제2024.10.10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코와 부비동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콧구멍은 전정(vestibule)이라 불리는 공간이다. 이 부분은 피부와 털로 덮여 있다. 전정 뒤쪽의 코 점막은 점액을 분비하며, 비강 위쪽 부분에는 후각 상피세포가 있다. 코의 가운데에는 비갑개(turbinate)라고 불리는 구조물이 있는데, 이 부위에는 모세혈관이 많아 공기를 따뜻하고 습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부에 있는 빈 공간으로, 위치에 따라 이마굴(frontal sinus), 벌집굴(ethmoid sinus),...2024.10.10
-
흉막 구조와 기능2024.10.03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1.1. 상부기도 1.1.1. 비강과 부비동 비강과 부비동은 상부기도에 속하는 구조물로, 호흡기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비강은 코 안쪽의 공간을 말하며,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 속의 빈 공간을 의미한다. 비강은 코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있으며, 상부에는 후각신경(제1뇌신경)이 분포되어 냄새를 맡는 기능을 담당한다. 비강의 내측벽에는 3개의 비갑개가 있는데, 이는 비강 내로 들어온 공기가 이를 따라 흐르면서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비강 내 점막에는 혈관이 풍부하여 ...2024.10.03
-
부비동염2024.10.181. 만성 부비동염(Chronic Sinusitis) 1.1. 정의 부비동(paranasal sinuses)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들은 작은 구멍(자연공)을 통해 코 속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부비동 내의 공기의 환기 및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진다. 부비동염(부비동 감염)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질병의 기간이 4주 미만일 경우에는 급성 부비동염, 3개월 이상 ...2024.10.18
-
방사선사 국가고시 일반촬영2024.08.311. 호흡기계 건강 문제와 간호 1.1. 상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코와 부비동은 상부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의 핵심 부분이다.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기를 걸러내고 가온하며 가습하는 역할을 한다. 부비동은 코와 연결되어 있는데,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 상악동 등 4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비동들은 점막으로 덮여 있어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며, 호흡 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먼지나 세균을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인두는 코에서 후두까지의 구간으로, 발성과 연하작용에 관여한다. 비인두는 코와 연결된 부...2024.08.31
-
부비동염 case study2024.09.011. 서론 부비동은 비강에 인접해 있는 뼈 속 공간으로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 상악동으로 구분된다. 이 네 개의 부비동은 작은 관을 통해 코 속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부비동은 머리 무게를 가볍게 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과 분비물을 배설하며 호흡을 통해 들어온 공기를 적정한 온도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 속이 건조하지 않게 하며, 소리를 낼 때 공명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부비동염(Sinusitis)은 이러한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심각한 장애는 아니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도 ...2024.09.01
-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및간호사정2024.09.02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1. 상부호흡기계 1.1.1. 코와 부비동 코와 부비동은 상부호흡기계의 구성요소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 가습, 가온하는 역할을 한다.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의 콧구멍인 전정이 있다. 전정 뒤의 점막은 점액을 분비하며, 전정을 따라 있는 비갑개는 모세혈관이 많아 공기를 습하고 따뜻하게 유지한다. 또한 코 점막의 일부는 후각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후각 기능을 담당한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의 빈 공간으로, 위치에 따라 이마굴(전두동), 벌집굴(사골동), 나비굴(접형동), 상악동...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