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물권법정주의 서론2024.10.051. 물권법 1.1. 물건의 정의와 특징 민법 제98조에 따르면 물건은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정의된다. 이는 물권의 객체가 되는 물건을 의미하며, 원칙적으로 물권의 일물일권주의에 따라 하나의 특정한 독립된 물건인 유체물이 물권의 객체가 된다. 여기서 특정의 독립한 물건이란, 특정성과 독립성을 가지는 물건을 의미한다. 특정성은 물권의 직접성과 배타적 지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특정 물건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집합물 위의 물권에 있어서는 구성부분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특정성을 잃는 것은 ...2024.10.05
-
소비자를위한생활법률2025.05.311. 소비자를 위한 생활법률 1.1. 부동산 임대차 1.1.1. 임대차 계약 임대차는 당사자 일방(임대인)이 상대방(임차인)에게 목적물(임대물)을 사용·수익하게 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이에 대하여 차임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한다. 임차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등기소나 대법원 인터넷 등기소(www.iros.go.kr)에서 토지·건물 등기부 등본을 발급받거나 열람하여 등기부상의 소유자가 실제 소유자이고 계약 체결 당사자인지,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거나 가압류된 부동산이 아닌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전/월세 계약 체결 상...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