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신생아 저혈당증의 문헌고찰2024.11.021. 신생아 간호 1.1.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1.1.1. 정의 및 원인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는 어느 재태기간에서나 영아의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에서 10%(백분위수)이하일 때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아기를 말한다. 부당경량아는 대부분 자궁 내 성장지연(IUGR)이 있는 아기이지만 적정 체중아인 경우도 있다. 부당경량아의 원인에는 태아 측 요인과 모체 측 요인이 있다. 태아 측 요인으로는 다태아, 특히 쌍둥이 때 쌍둥이 수혈이 있다....2024.11.02
-
아동간호학 중간고사 뇌기능 장애2024.11.211. 서론 1.1. 아동간호의 개요 아동간호는 임신부터 출생 후 청소년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아동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아동간호의 일차적 대상은 아동을 포함한 가족이며, 가족 사정과 가족 중심적 중재를 포함한다. 과거에는 아동을 불안정한 시기에 희생시켜도 되는 대상으로 간주하였으나, 현재는 위기 상황 시 가장 우선적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진다. 미국의 1912년 아동국협의회 창설을 시작으로 영양, 위생, 세균학, 약리학, 의학, 심리학, 성장발달이론의 발전으로 아동중심적 건강과 삶의 질 증...2024.11.21
-
고위험 신생아 체온조절2025.03.071. 신생아의 건강증진 1.1. 체온조절 신생아는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지방이 부족하며, 몸이 양수에 젖어있어 열손실이 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몸은 양수로 덮여 있으므로 태어나자마자 린넨으로 감싸 증발을 통한 열손실을 막아주어야 한다. 또한 신생아의 피부가 차가운 곳에 직접 접촉되면 전도성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따뜻한 침요 위에 두어 전도성 열손실을 막는다. 주위 공기의 온도가 낮을 때 발생하는 대류성 열손실을 막기 위해 적절한 주위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신생아에 직접 닿지 않는 찬 물체로 인...2025.03.07
-
아동 케이스 GDM2025.03.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임신성 당뇨병(GDM)의 발생률이 매년 1~2%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다음 임신 시 재발의 위험이 50% 정도이며, 국내에서는 2011년 기준 10.5%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산모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갈수록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수유 행동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게 되면서,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