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인체구조와기능2024.10.061. 서론 1.1. 주제 선정 동기 COVID-19가 기승을 부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백신접종을 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백신접종에 따른 부작용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백신 접종 후 실신이 나타나는 미주신경성 실신이 그 중 하나로 주목되었는데, 이는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레포트를 통해 미주신경성 실신의 발생 기전과 이를 포함한 자율신경 실조증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자율신경 실조증에 의한 미주신경성 실신 2.1.1...2024.10.06
-
약리학 문제2024.10.231. 약물의 기본 개념 1.1. 약물의 치료적 분류 약물의 치료적 분류는 약물이 작용하는 생리학적 계통 및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된다. 약물은 주된 작용 부위 및 효능에 따라 심혈관계 약물, 중추신경계 약물, 자율신경계 약물, 소화기계 약물, 호흡기계 약물 등으로 분류된다. 심혈관계 약물에는 항고혈압제, 항부정맥제, 혈전용해제, 항응고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주로 혈관 및 심장에 작용하여 혈압 강하, 부정맥 억제, 혈전 용해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중추신경계 약물에는 진통제, 마취제, 향정신성 약물, 항경련제 등이 속...2024.10.23
-
생리학 문제2024.10.091. 생리학 개요 1.1. 항상성과 체액 조성 인체 내부 환경의 일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생명체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일정성 유지 기전을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한다. 항상성은 음성되먹임(negative feedback) 기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내부 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면 변화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부 환경의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기전이다. 대표적인 예로 체온 조절 과정을 들 수 있다. 체내 온도가 상승하면 발한 작용이 일어나 체온을 낮추는 반응이 나타나고, 체온이 하강하면 근육 수축을 통해 체...2024.10.09
-
근육생리2024.10.081. 근육의 구조와 기능 1.1. 뼈대근육(골격근) 1.1.1. 뼈대근육의 구조 뼈대근육(골격근)은 여러 개의 근육섬유(muscle fiber)가 연결되어 길이가 긴 근육을 구성하고 있다. 근육섬유는 수많은 근육원섬유(myofibril)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육원섬유는 다시 가는 근육잔섬유(thin filament)와 굵은 근육잔섬유(thick filament)로 이루어져 있다. 가는 근육잔섬유는 액틴(actin),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 트로포닌(troponin)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굵은 근육잔섬유는 ...2024.10.08
-
인체 구조와 기능2024.09.291. 서론 최근 COVID-19가 기승을 부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예방접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백신접종은 치료가 아닌 예방접종의 의미이며 아직 불확실하고 많이 정착하지 않은 백신이다 보니 부작용이 다양하고 심하면 사망까지 초례를 할 수 있어 예방접종을 맞을 때는 신중하게 맞아야 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중 길랑바레증후군, 횡단성척수염, 안면마비, 뇌병증, 상완신경염, 급성파종성뇌척수염, 면역 혈소판감소성 자반, 시신경염, 루푸스 등과 더불어 아나필락시스, 미주신경성 실신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 ...2024.09.29
-
생리학 문제2024.11.291. 생리학 개요 1.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1.1.1. 음성되먹임 음성되먹임이란 내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면 그 변화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내환경의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중요한 생리학적 기전이다. 인체에서는 끊임없이 내부 환경이 변화하지만, 음성되먹임 과정을 통해 체온, 혈압, 혈당 등의 생리적 변수들이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이를 통해 생명체는 급격한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조절 시 음성되먹임이 작용한다. 외부 온도가 올라가면 체온이 상승하게 되고, 이를 감지한 온도수...2024.11.29
-
한의학침치료2024.12.191. 수족냉증의 진단과 치료 1.1. 개요 냉증은 의학적으로 '냉각과민증'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추위를 느끼지 않을 온도에서도 신체의 특정 부위가 차고 시려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냉증은 여성이 남성보다 3:2 정도로 많으며, 시기별로 보았을 때는 2-30대 가임 여성이 가장 많으나 사춘기, 갱년기에도 발생하고, 특히 산후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부위별로 보면 전신, 수족, 소복, 음부, 요부, 배부의 순으로 다발한다. 그 중, 수족냉증은 손발이 차게 느껴지는 증상으로 (1) 실제로 손과 발의 체온이 정상...2024.12.19
-
생리학 문제2024.12.021. 항상성과 체액의 구성 1.1. 항상성과 음성되먹임 항상성은 생명체의 내부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생리학적 과정이다. 이는 음성되먹임 기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음성되먹임은 내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면 변화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환경의 변화를 최소화시켜주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체온조절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성되먹임을 보면, 외부 자극에 의해 체온이 변화하면 그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즉, 체온이 상승하면 발한을 통해 열 방출이 증가하고, 체온이 저하되면 떨림 등을 통해 열 발...2024.12.02
-
척추에 존재하는 신경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뇌에서 연장되어 척추관 사이를 지나는 척수(spinal cord)이며2024.10.301. 신경계의 구성 1.1. 구조상의 분류 1.1.1.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 CNS)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 CNS)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다. 뇌는 대뇌(cerebrum), 간뇌(diencephalon), 중뇌(midbrain), 후뇌(hindbrain)로 이루어져 있으며, 척수는 척추관 내에 위치한다. 중추신경계는 신체 내부와 외부의 정보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반응을 나타내게 한다. 대뇌는 뇌중량의 80%를 차지하며, 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하고 기억하...2024.10.30
-
물벼룩 심장 박동 실험2024.10.191. 물벼룩 심장박동 관찰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신경전달물질 등의 화학적 메신저에 의한 신체의 조절현상과 온도 조건, 약물에 의한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물벼룩을 대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물벼룩은 투명한 갑각을 가지고 있어 현미경으로 심장박동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물벼룩의 심장박동이 화학적 요인과 온도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심장의 자율적인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물벼룩의 특성 물벼룩은 몸길이가 ...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