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성인 지침서2024.09.211. 수술실 실습 1.1. Time out의 방법 및 중요성 "수술실에서 환자 확인의 마지막 단계로 '타임 아웃'을 시행하여 '정확한 수술환자, 정확한 수술부위, 정확한 수술과정'을 확인하여 오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Time out 방법은 ① 환자 확인을 하였는가? (수술동의서, 수술스케쥴, ID band) ② 등록번호, 환자명, 수술명, 수술부위 및 표지를 확인하였는가? ③ 영상자료와 의무기록 확인하였는가? (영상자료 dis/play여부 확인) ④ 수술에 필요한 장비, 기구가 멸균 및 준비 되었는가? ⑤ 수술 중 발생 가능한 ...2024.09.21
-
봉합사종류2024.11.011. 봉합사 1.1. 봉합사의 정의 봉합사란 수술이나 외상으로 조직에 결손이 생겼을 때 창상면을 꿰매어 치유를 촉진시키는 데 사용되는 실을 말한다. 수술의 기본은 출혈의 조절과 상처를 봉합하는 것이며, 수술에 사용되는 봉합사는 혈관을 묶거나 조직을 결찰할 수 있는 일련의 재료를 의미한다. 봉합사의 생화학적인 성질, 환자조직의 회복기간에 따라 봉합사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1.2. 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 이상적인 봉합사는 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다루기가 용이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또한 최소한의 조직반응을 ...2024.11.01
-
부천성모 마취 수술 회복간호2024.10.111. 수술실 간호 1.1. 수술실 환경 수술실은 전기 장비가 있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높은 환경이다. 따라서 수술실 내에서는 비인화성, 비폭발성 물질을 사용하고 절대 금연해야 한다. 또한 수술복은 정전기 발생을 막기 위해 면직물을 사용한다. 수술실 바로 옆에 소독물품을 충분히 갖춘 공간을 마련하여 응급 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술실 내의 공기압력은 복도 및 주변 공간에 비해 양압 상태를 유지하여 주변의 오염된 공기가 수술실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수술실은 오염 정도에 따라 비제한 구역, 준제한 구역, 제...2024.10.11
-
물리치료 soap SCI2024.12.221. 신경계 환자의 치료 및 관찰 1.1. 신경계 환자의 문제 파악 1.1.1. 사례 1: Mild quadriplegia 환자의 문제 파악 사례 1의 mild quadriplegia 환자는 61세 여성으로, 10.05.05 T-SAH 진단 하에 decompressive craniectomy와 hematoma removal 수술을 받았다. 이 환자의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측 상·하지의 근력 약화이다. 근력 검사 결과 우측 상지는 F+등급, 하지는 G등급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뇌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으로 사...2024.12.22
-
봉합사 및 바늘의 종류2025.01.021. 봉합사와 봉합침 1.1. 봉합사(suture material) 1.1.1. 정의 봉합사란 절개된 조직을 꿰매는 실을 말하며, 지혈작용, 손상된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봉합사를 사용할 때 유의할 점은 멸균상태를 최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멸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직전에 멸균포장에서 꺼내고, 약간 따뜻한 물이나 식염수에 적셔 사용하는 것도 있고,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있다. 1.1.2. 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 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 수 있...2025.01.02
-
봉합사 및 바늘의 종류2025.01.021. 봉합사와 봉합침 1.1. 봉합사 1.1.1. 정의 봉합사란 절개된 조직을 꿰매는 실을 말하며, 지혈작용, 손상된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봉합사를 사용할 때 유의할 점은 멸균상태를 최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1.1.2. 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 이상적인 봉합사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여러 가지 수술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handling이 우수하고 부드러워야 한다. 최소한의 조직반응을 유발하며, 높은 인장강도를 가져야 한다. 매듭이 강하고 안정적이어야 하고, 적절한 시기에 흡수되어야 한다....2025.01.02
-
현문사 기본간호학2025.01.111.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 1.1. 내과적 무균법 감염 회로를 차단하는 것이 감염 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간호사는 대상자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감염 회로를 차단하며 병원체 확산을 감소시킬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 손 위생, 오염된 물건과 기구의 운반 시 주의, 오염된 물품의 올바른 처리, 비말 차단, 청소 시 주의 사항 준수, 오염된 물품의 적절한 폐기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손 위생은 감염 관리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수기로, 미생물의 수를 줄이기 위해 수행한다. 장갑 착용만으로는 손 위생을 대체할 수 없으...2025.01.11
-
봉합사 종류2024.08.271. 봉합사 (Suture Material) 1.1. 정의 봉합사란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해 조직에 결손이 생겼을 때 창상면을 꿰매어 치유를 촉진시키는 데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실가닥을 의미한다. 즉, 봉합사는 지혈작용과 함께 손상된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 조직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1.2. 용어 정리 1.2.1. 흡수기간 흡수기간은 봉합사가 체내에서 완전히 흡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흡수성 봉합사의 경우 흡수기간은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자연사 봉합사인 cat gut은 90일, plain gut은 70일에 ...2024.08.27
-
EMR 간호기록2025.01.291. EMR 간호기록 1.1. 일반적 정보 일반적 정보 환자는 26세 여성이며, 기독교를 믿는 미혼인 것으로 확인된다. 대학교에 다니고 있으나 현재 휴학 중인 상태이며, 직업은 없다.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환자는 2014년 5월 12일에 조현병, 성격장애, 분노조절장애를 진단받고 입원한 상태이다. 입원 동기는 어머니와 소통이 되지 않고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아 어머니에게 협박과 폭력을 행사하다가 손목을 긋는 행동을 하여 입원하게 되었다. 1.2. 현재의 병력 5년전에 나타났고 폭력적인 행동, 자살시도, 불면증, 사회적...2025.01.29
-
수술실 무균술 소독 멸균2025.02.061. 수술실 위생관리 1.1. 수술 환경의 지침 수술환경은 청결과 소독을 통해 유지되어야 한다. 수술 전 수술실의 청결도와 장비 및 기구의 소독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수술실의 모든 표면, 즉 가구, 조명, 장비 등에 있는 먼지와 혈액, 미세섬유, 종이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균류는 습기와 섬유질을 좋아하므로 건조한 환경에서는 그람양성균이, 습한 환경에서는 그람음성균이 생존할 수 있다. 첫 수술 전 병원에서 인정한 청소 용액으로 방포 없는 천으로 먼지를 제거하고, 혈액이나 모니터 스크린의 청결은 제조사 지침에 따른다. 물...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