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2개
-
새관점 학파의 입장2024.09.201. 바울의 구원론 1.1. 구원의 필요성과 죄(罪)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구원의 교리를 제시하고 있다. 죄악(罪惡) 속에 사는 인간에게 있어서 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바울 신학사상에 있어서 죄(罪)의 정의는 인간 진화과정의 결핍, 주위 환경의 영향, 교육, 기타 지상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죄악(罪惡)의 만연과 그 위력 및 도덕적 비열성을 성명할 수 없다. 즉, 선(善)의 반대가 악(惡)이며, 죄(罪)이다. 바울은 죄(罪)에 대한 실체와 본성을 정의하여 그 기준을 만물의 창조주이신 유일하신 하나님께서 정하신 법을 ...2024.09.20
-
설교2024.09.251. 설교와 설교자 1.1. 설교의 쇠퇴와 몰락 설교의 쇠퇴와 몰락은 현대인들의 교육 수준 향상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이 더 이상 설교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설교가 유일한 지식 및 정보의 창구였지만, 오늘날에는 책을 읽거나 라디오, TV 등을 통해 쉽게 진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교회 내부적인 요인들도 설교의 쇠퇴를 가져왔다. 첫째, 성경의 권위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고 진리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었다. 성경의 권위가 상실되면 설교할 수 있는 토대가 무너지게 된다. 둘째,...2024.09.25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을 위한 방법2024.09.231. 예배에 대한 고찰 1.1. 예배의 의미와 역할 예배의 의미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예배는 인간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신앙적 생활을 영위하는 종교적 행위이다. 초대교회부터 이어져 온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을 찬양하고 그분의 구원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것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나누고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며, 하나님께 자신을 바치게 된다. 예배의 핵심적인 역할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유지이다. 인간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 단절되었지만,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2024.09.23
-
빌립보서2:19-22하나님의 사람 디모데2024.09.111. 사도행전과 바울서신 개괄 1.1.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누가복음의 저자인 누가에 의해 기록된 저술로, 예수님의 승천 이후 초대교회의 출현과 성장, 특히 사도 바울의 선교 여행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 누가는 신약성경의 저자들 중 유일한 이방인이자 수준 높은 교육과 지성을 갖춘 의사로서, 바울의 동역자였다. 사도행전의 주된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 성령이 충만한 초대교회가 예루살렘을 출발하여 점차 이스라엘을 넘어 온 세계로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자 누가는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초대교회의 복음...2024.09.11
-
하늘의 법정, 복음의 변증2024.09.231. 사도행전에 대한 이해 1.1. 사도행전의 장르와 특징 1.1.1.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 사도행전의 구조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사도행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두 저작물의 구조와 문체가 서로 다른 점이 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서술 방식과 구성이 상이하여 이들 간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도행전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문제이다. 사도행전은 초대 교회사를 다루고 있어 역사적 사실성이 강조되지만, 과연 그 내용이 역사적 사실인지에...2024.09.23
-
공간복음으로여행2024.11.011. 바울서신의 특징과 교회/가족/제자에게 보내는 목회 편지 1.1. 바울서신의 내외적인 특징 바울서신의 내외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바울서신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고백이다. 교회에 보낸 서신 9권과 개인에게 보낸 서신 4권이며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의미를 율법과 복음의 관계로 바르게 제시하였다. 필체는 성령의 불붙은 논리이다. 지식인답게 논리적이며 성령의 감동을 기록하였다. 또는 교리적인 해석을 예리하게 풀어내고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과 고백의 연결과 성도들의 실천적 과제들도 ...2024.11.01
-
초대교회 선교2024.10.101. 사도행전을 통해 본 초대교회와 선교 1.1. 초대교회의 시작과 발전 초대교회의 시작과 발전은 다음과 같다. 구약성경에서 "교회"를 가리키는 중요한 히브리어는 '카할'과 '에다'이다. '카할'은 세속적이거나 종교적인 모임을, '에다'는 종교적 의식을 행하는 모임을 의미한다. 이 두 용어는 '카할 에다'로 합쳐져 "회중 총회" 또는 "회중의 모임"이라는 통합적 의미로 교회를 나타낸다. 신약성경에서는 '에클레시아'와 '수나고게'가 사용된다. '수나고게'는 유대인들의 종교 집회나 예배 건물을 지칭하고, '에클레시아'는 신약의 ...2024.10.10
-
요한웨슬리의 신학2024.10.211. 웨슬리의 신학운동 1.1. 18세기 철학사상과 도덕적 상황 웨슬리가 활동하던 18세기 유럽은 이신론(理神論)이라는 철학사상이 성행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당시 이신론자들은 기독교를 자연주의화하는 데 주력하고, 기독교에서 초자연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그리하여 이들 17세기와 18세기의 종교연구가들은 계시와 이성의 조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위로부터 임하는 하나님의 계시(啓示)의 가능성과 전통적인 초자연주의에 대하여 질문을 제기하며, 마침내 신앙을 이성에 예속시키는 일을 강조하였다. 또한 18세기 ...2024.10.21
-
바울서신기록목적 요약2024.10.261. 바울서신의 이해 1.1. 바울서신의 내외적인 특징 바울서신의 내외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울서신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고백이다. 바울서신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의미를 율법과 복음의 관계로 바르게 제시하였다. 그의 필체는 성령의 불붙은 논리이며, 지식인다운 논리적이고 성령의 감동을 기록하였다. 바울서신은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목회론, 종말론 등 신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둘째, 바울서신은 전체 13권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다. 9권은 교회에 보낸 서신이고, 4권은 개인에게 보낸 서신이다...2024.10.26
-
바울서신기록목적2024.10.261. 바울서신의 내외적 특징 1.1. 바울서신의 개요 바울서신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바울서신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고백이다. 교회에 보낸 서신 9권과 개인에게 보낸 서신 4권이며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의 의미를 율법과 복음의 관계로 바르게 제시하였다. 필체는 성령의 불붙은 논리이다. 지식인답게 논리적이며 성령의 감동을 기록하였다. 또는 교리적인 해석을 예리하게 풀어내고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과 고백의 연결과 성도들의 실천적 과제들도 연결된다. 여기에 통찰력 있는 신학자이고, 사랑이 많...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