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익산 미륵사지2024.10.141. 익산 미륵사지 1.1. 미륵사지의 역사와 구조 1.1.1.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는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과 왕비가 사자사에 가는 길에 용화산 아래 큰 연못에 이르렀을 때 미륵삼존이 나타났다. 왕비가 왕에게 이곳에 큰 절을 세울 것을 청하자, 왕은 승려인 지명법사에게 연못을 메울 방법을 묻고 신력으로 하루만에 산을 옮겨 연못을 메워 대전과 탑, 회랑 등을 각각 세 곳에 세웠다. 이 절을 '미륵사'라 이름 지었다. 발굴조사 결과 미륵사지는 중문-탑-금당이 일직선상에 배열된 1탑 ...2024.10.14
-
전통문화재 복원2024.10.211. 건축문화재 수리와 보존 1.1. 건축문화재의 특성 1.1.1. 건축문화재의 정의와 분류 건축문화재는 "유네스코에서 정의한 기념물 중 건축물과 건조물의 일부가 바로 건축에 해당하는 문화재"이다. 건축문화재는 유형문화재의 성격에 따라 고건축 건조물, 근대건축, 기념물, 유적, 유물 등으로 분류된다. 문화유산의 수리와 복원 등과 관련된 대상은 대부분 유형문화재 중 고건축에 해당한다. 건축(Architecture)은 기본적으로 서양의 예술 개념에 기초하며, 건축물(Building)은 '예술 작품(a work of art)'의 ...2024.10.21
-
생태계 생물 다양성2024.10.081. 생태계 보전과 생물 다양성 1.1. 생물 다양성의 가치와 중요성 생물 다양성의 가치와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생물 다양성은 지구 생태계의 건강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다양한 생물종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의 기능을 유지하고,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인다. 생물 다양성이 높은 생태계는 자연재해나 질병에 대한 회복력이 크기 때문에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한다. 또한 생물 다양성은 인류에게 다양한 자원과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식량, 의약품, 에너지원 등 생물 자원은 인류의 삶에 필수적이며, 관광 및 ...2024.10.08
-
경북궁 답사2024.11.141. 경복궁 관람 1.1. 경복궁의 역사 및 기본 구조 경복궁은 조선을 개국한 태조 임금이 개경에서 한양(지금의 서울)으로 수도를 옮긴 후, 1395년 세운 우리나라 으뜸의 궁궐이다. "'만년토록 큰 복을 누리기를 기원한다'"는 뜻을 가진 경복궁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전소되어 270여 년간 방치되어 있다가, 고종 4년(1867년)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되었다. 그러나 1876년 대규모 화재로 800여칸이 소실되었으며, 이어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궁궐의 많은 부분들이 일제에 의해 의도적으로 훼손되어 근정전, 경회루, 향...2024.11.14
-
제주역사와문화2025.01.151. 서론 제주는 화산섬으로서 매우 척박한 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그 안에서 제주인들은 운명공동체라는 인식을 가지고 공동체적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수눌음이라는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와 정낭 등 제주인들의 자취가 곳곳에 남아있다. 현재 제주는 세계7대자연유산에 등재되며 국제자유도시로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섬이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제주의 전통 모습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몇몇 전통 주거와 돌담, 민속마을을 제외하고는 제주의 역사와 문화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다. 대신 내륙지방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의 아파트들이 들어...2025.01.15
-
광교 푸른숲 도서관2024.11.221. 수원 화성과 서울 청계천 1.1. 수원 화성 답사와 소감 1.1.1. 수원 화성에 대한 개인적 인연 수원 화성에 대한 개인적 인연은 매우 깊다. 수원천(水原川)을 주 놀이터로 삼아 서장대가 위치한 팔달산을 산책하고 인근의 도서관에서 입시를 준비했으며, 심지어 대학의 면접시험에서도 '수원 화성에 대해 설명하라'는 질문을 받는 행운을 얻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원 화성에게서 받은 것에 대한 보답은커녕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했던 것 같다. 수원 화성이 우리와 공존하며 너무 자연스럽게 느껴졌기 때문에, 그 소중함과 가치...2024.11.22
-
미술품복원2024.12.051. 미술복원의 개념과 역사 1.1. 미술의 정의 미술이란 그 글자 그대로 "아름다움"을 구현하는 "기술" 또는 기예, 또는 그러한 기술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특히 미술은 조형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감정이나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시각예술 내지 조형예술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예술의 한 분과이며, 과거에는 회화와 조각이 전통적인 미술의 장르로 간주되었으나 오늘날에는 공예뿐만 아니라 설치 미술과 미디어 아트, 대지 미술과 개념미술 등 다양한 장르가 미술에 포섭되고 있다. 1.2. 미술과 미술복원의 차이점 미술은 아름다움의 가치를 여러 가지...2024.12.05
-
토목직 복원문제2024.08.291. 소하천 생태보전에 관한 연구 1.1. 하천의 개요 1.1.1. 하천의 의의 하천은 공학용어상으로 강수가 지표면을 따라서 흘러서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수로로서 유로와 유수로 구성되며, 지상에 내린 천수는 중력에 의해 수로경사가 낮은 곳으로 흘러 호수나 바다로 유입하게 된다. 이때의 유로를 하도라고 하며, 이로써 강수와 유역특성이 하천의 특성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하천이란 물이 계속 흐르고 있는 토지 및 지형, 당해 토지에 있어서 식물이 자라는 상황이 매년 1회 이상 물이 흐른 흔적을 나타내고 있는 토지의 구역, 하천...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