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소장폐색 질환고찰2024.09.071. 장폐색의 진단과 치료 1.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소화기계는 구강에서 시작하여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및 항문으로 이어지는 관으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 및 배출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소화기계는 크게 상부 소화관과 하부 소화관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소화관은 구강, 인두,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구성되며, 이 부분에서는 주로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의 첫 단계가 이루어진다. 구강에서 씹기와 삼키기 동작이 일어나고, 타액선에서 분비된 타액은 음식물을 연화시켜 삼키기 쉽게 만든다. 식도에서는 연동운동에 의해 음식...2024.09.07
-
GI bleeding 문헌고찰2025.05.311. GI 출혈의 정의와 원인 1.1. 상부 위장관 출혈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상부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말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소화성 궤양, 식도 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역류성 식도염, 위염 등이 있다. 소화성 궤양은 위 및 십이지장에 생기는 궤양으로, 장시간 소염제(NSAIDs) 복용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주된 원인이다. 식도 정맥류는 간경변증으로 인한 문맥압 상승으로 식도 하부 정맥이 확장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스트레스성 궤양은 뇌손상, 화상, 패혈증 등의 중증 질환 환...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