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3개
-
중환자실 crrt 케이스2024.09.091. 급성 신손상 환자의 간호 1.1. 사례 확인 및 병력 수집 대상자는 70세 여성 환자로, 10일 전부터 잘 걷지 못하고 3일 전부터 손과 발에 부종이 있어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2주 전부터 허리와 전신 통증으로 덱시부펜(dexibuprofen)과 페인엔젤(ibuprofen)을 복용해왔고, 10일 전부터 활력이 떨어지다가 7일 전부터는 부축없이는 걸을 수 없었다고 한다. 내원 전일에는 물에 식사한 밥 두 숟가락 정도만 섭취했다고 한다. 환자는 고혈압 기저질환이 있었다. 입원 당시 의식은 drowsy 상태였고, 혈압이 90/...2024.09.09
-
투석2025.01.20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이란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투석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며,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고 요독증상을 완화하며 고혈압을 조절하고 빈혈 상태를 개선하여 사회적 재활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투석은 사구체 여과율이 약 15mL/min/1.73m2 이하일 때, 오심,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소양증, 골이영양증, 발육 부진 등의 유의한 요독증이 있을...2025.01.20
-
투석 컨퍼런스2025.01.201. 서론 1.1. 투석 컨퍼런스 개요 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를 위한 중요한 신대체요법 중 하나이다. 투석 컨퍼런스에서는 투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부전의 종류와 원인, 투석요법의 종류와 특성, 투석 환자 간호, 합병증 관리, 식이 요법, 약물 요법 등 투석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투석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다양한 최신 치료법과 간호 기법을 소개하며, 환자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투석 방법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투석 환자의 건강 관리...2025.01.20
-
만성신부전2024.11.091. 서론 1.1. 신장의 정의 및 구조 신장은 아래쪽 배의 등 쪽에 쌍으로 위치하며 노폐물을 배설하고 산-염기 및 전해질 대사 등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다. 콩팥의 길이는 약 10~14cm, 폭은 5~6cm, 두께는 2.5~3cm 정도이며 한쪽 콩팥의 무게는 120~190g이다. 색깔은 적갈색이며 형태는 강낭콩 모양이다. 콩팥에는 단위 조직으로 네프론이 있는데 양쪽 콩팥을 합하여 약 250만 개 정도의 네프론이 존재한다. 네프론은 사구체(토리), 토리세관, 콩팥세관고리, 먼쪽세관 및 집합관으로...2024.11.09
-
신부전2024.10.251. 만성 신부전 개요 1.1. 만성 신부전의 정의 만성 신부전이란 신장이 체내 환경을 더 이상 적절히 유지하지 못하고, 신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의 30% 이하로 저하하고, 고질소혈증(혈청 크레아티닌>1.4mg/이)이 3개월 이상 계속되면 진단을 확정한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1...2024.10.25
-
만성신부전2024.10.301. 만성신부전 개요 1.1. 만성신부전의 정의 만성신부전이란 신장이 체내 환경을 더 이상 적절히 유지하지 못하고, 신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구체 여과율(GFR)이 정상의 30% 이하로 저하하고, 고질소혈증(혈청 크레아티닌>1.4mg/이)이 3개월 이상 계속되면 진단을 확정한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1.2....2024.10.30
-
건국대학교병원2024.10.131. 병원 소개 및 간호부서 실습 1.1. 병원 현황 및 특성 건국대학교병원은 1931년 5월 유석창(劉錫昶)이 3·1운동 대표 33인을 비롯한 각계 45명의 후원을 얻어 식민치하에서 병고에 시달리는 동족의 구료(救療)를 위하여 종로2가에 무료 및 실비병원인 사회영중앙 진료원으로 설립되었다. 창립 정신인 "구료제민(救療濟民)"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수준 높은 진료, 교육, 연구를 통하여 인류 공동체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고자 하는 병원의 미션을 가지고 있다. 병원의 비전은 "Beyond the Best, Better Tomor...2024.10.13
-
신장이식 case2024.08.151. 서론 1.1. 말기 신장 질환 환자의 치료 방법 말기 신장 질환 환자의 치료 방법에는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이 있다"" 정상적인 신장은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하고 수분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만성 신부전이 진행하여 신장의 기능이 정상의 10% 이하로 떨어지면 말기 신부전(ESRD)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이 필요하다" 혈액투석은 정기적으로 인공 신장기를 이용하여 혈액 속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복막투석은 복막을 이...2024.08.15
-
성인간호학 투석 정리 자격증 노트2024.12.10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은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3가지의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확산은 반투막 통해 입자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까지 입자가 이동하는 것이며, 투석 시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 제거에 작용한다. 삼투는 삼투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수분이 이동하는 것으로, 환자 체내의 과다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초여과는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반투막을 통한 수분의 이동이지만, 조작적으로 적용된...2024.12.10
-
신부전 교육자료2025.02.271. 서론 만성신부전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신기능이 감소되어 지속적이고 불가역적으로 신원의 기능이 파괴되어 다시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질환이다. 신장이 기능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는 신장 기능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저하되어 신기능이 10~15%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투석 및 신장 이식을 시행하여야만 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투석 및 이식 등의 대체 요법이 발달하면서 말기 신부전 환자의 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해졌으나, 아직도 이병율과 사망률이 높으며 경제적인 부담도 큰 실정이다.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를 하면 신...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