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7개
-
암생존자, 수면, 빈혈2024.09.1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궁내막암은 흔히 발견되는 부인암 중의 하나이다. 자궁내막암의 발생비율은 주로 폐경 이후가 75%를 차지하는 데 비해 40세 이전의 젊은 여성의 경우는 전체 자궁내막암의 5%로 드물게 발생한다. 1991년 처음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한국 부인암 등록사업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한 해 동안 132명이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되었고, 2004년에는 862명으로 여섯 배 이상 증가하였다. 2010년 한 해 동안 국내 여성 암의 1.8%를 차지하며, 여성 암 발생률 순위 12위인 것으로 보고되면서 부인암 ...2024.09.11
-
충수염 개념 및 수술 간호 정리2024.09.111. 급성 충수염(appendicitis) 1.1. 정의 급성 충수염(appendicitis)은 맹장 끝의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충수돌기는 소장의 회장이 끝나고 대장이 시작되는 부위인 맹장에 연결되어 있는 약 9cm 길이의 주머니 모양의 부위이다. 이 충수돌기에 급성 혹은 만성의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서 대부분 급성 질환으로 나타나는 것이 급성 충수염이다. 1.2. 원인 급성 충수염의 주된 원인은 충수 내강의 폐쇄로 알려져 있다. 충수 내강의 폐쇄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분변돌(fecalith)의 형성, 충수의 ...2024.09.11
-
자궁내막증 간호진단2024.09.111. 서론 1.1. 자궁내막증의 정의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이외의 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자궁 내막 조직은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영향을 받아 성장과 발달을 하므로, 초경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고 질환자의 75%가 25~40세 사이의 가임기 여성이다. 자궁내막증은 골반 장기와 복막, 특히 난소(가장 흔하게 발견됨)를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한다. 그 외에도 자궁인대, 직장, 질중격, 자궁, 난관, S자상 결장, 방광을 덮는 골반의 복막, 제와부, 복부절개 반흔부, 탈장낭, 충수돌기, 외음부, 자궁경부,...2024.09.11
-
3포트 복강경 충수절제술 수술과정에 대해 해부생리학적으로 알려줘. 수술전 투약한 약물이랑 마취시에 투약한 약물도 작성해줘2024.09.171. 서론 1.1. 급성 충수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충수는 관모양의 주머니로 맹장에 붙어 있으며 회맹판막의 바로 아래, 오른쪽 엉덩뼈와 배꼽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장골극으로부터 5cm 안쪽인 맥버니점 부근에 있다. 대부분의 급성 충수염에서 충수의 근위 내관이 폐색되는데, 대변 덩어리나 이물질, 염증, 종양, 기생충, 결석, 림프조직의 부종 등이 원인이 된다. 충수가 폐색되면 점막에서 체액이 분비되어 충수가 팽창한다. 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혈액공급이 저하되면서 염증, 부종, 궤양, 감염이 발생한다. 화농성 배액이 형성되고 충수가...2024.09.17
-
BSO2024.09.19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난소 종양은 임신횟수, 초경연령, 폐경연령 등의 변화, 호르몬제제의 노출, 서구화된 식생활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난소 종양 수술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젊은 여성에 경우, 되도록 종양만을 절제하고 난소실질을 남겨두는 방법이나 임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쪽 난소만 적출을 하는 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복강경을 이용해 수술흉터를 최소화하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따라서 다른 수술과 비교하면, 안전하고 성공률이 높은 수술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아...2024.09.19
-
양성난소낭종2024.09.24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코로나19로 인해 전 국민이 힘들어하고 있다. 그로 인해 모두 병원을 가기 꺼려하고 무서워하는 실상이 되어버렸다. 이번 모성간호학 실습을 현장으로 나가는 것을 기대했던 나로서는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백문이불여일견(百聞이不如一見), 직접 눈으로 보고 관찰하는 것이 최고의 경험이고 지식이 될 수 있는 것을 알면서도 건강이나 여러 문제들로 인해 실습을 나가지 못했다. 비록 병동으로 나가보지는 못했지만, 어떤 질병을 케이스로 설정하면 좋을 지에 대해 한참을 생각해보았다. 그러다가 문득 가까...2024.09.24
-
수술실 실습일지2024.09.231. 수술실 실습 개요 1.1. 수술실의 구조와 기능 수술실은 무균 관리가 엄격히 이루어져야 하는 곳으로, 수술이 진행되는 실제 공간인 수술방, 수술 전후 환자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회복실, 그리고 수술 기구와 물품의 세척 및 멸균 처리가 이루어지는 소독 및 세척실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방은 총 12개의 수술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응급 수술을 위한 별도의 수술실도 마련되어 있다. 각 수술실에서는 해당 진료과에 맞는 다양한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술 전 환자는 수술 대기장에서 수술 준비를 하게 되며, 수술이 완료된 환자는 회복실...2024.09.23
-
수술실간호 담낭절제술2024.09.231. 서론 1.1. 사례 선정의 의의 최근 좌식생활과 서구화된 식습관에 따라서 과체중으로 인한 담석증 및 급성 담낭염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수술실에서도 담낭절제술은 이틀에 1회 정도로 자주 시행하는 수술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의 간호사로서 다빈도 케이스인 담석증의 질환과 치료방법인 담낭절제술의 수술과정과 수술 후 중재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이 느껴져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대상자의 건강력 및 입원동기 OOO님은 기저질환 없는 71세 여환으로 5월 8일 시작된 우상복부 통증을 주호소로 l...2024.09.23
-
TLH 장단점2024.09.221. 자궁근종 및 자궁절제술 1.1. 자궁근종의 정의 및 발생 빈도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과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양성 종양으로, 여성 생식기 종양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폐경 주변기에 급성장하지만 폐경 후에는 자연소멸하는 경향을 보인다. 자궁근종은 에스트로겐이 활발하게 분비되는 35~50세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는데, 특히 40대에 발생률이 가장 높다. 그러나 갱년기가 되면 근종은 위축되는 경향을 보인다. 작은 근종까지 포함하면 중년 여성 5명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한다. 1.2. 자궁근종의 종류 및 증상 자궁근종은 자궁...2024.09.22
-
난소종양 LSO 케이스2024.09.22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난소 낭종과 자궁내막증에 대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난소 낭종은 가임기 여성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인과 질환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난소 낭종은 양성이지만 일부는 악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난소 낭종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정기검진을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난소 낭종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수술 후 임신 능력 보존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외부에 존재하는 질...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