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아동자립 지원동기2024.10.021. 보호 종료 청소년의 현실과 과제 1.1. 보호 종료 청소년의 현상 분석 보호 종료 청소년의 현상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 종료 청소년은 갑작스럽게 보육 시설에서 나와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주인공 아영의 경우 보육 시설에서 자라다 만 18세가 되어 자립하였지만, 월 120만원 정도의 저소득으로 생계를 이어가며 기초생활수급자 탈락의 위기를 겪고 있다. 보호 종료 청소년은 대부분 경제적 기반이 약해 자립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보호 종료 청소년 중 일부는 마땅한 생계 수단을 찾지 못...2024.10.02
-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프로그램2024.10.261. 보호 종료 청소년의 자립지원 현황과 과제 1.1. 보호 종료 청소년의 개념 및 현황 보호 종료 청소년의 개념 및 현황은 다음과 같다. 아동복지법에 따르면 아동복지시설에 입소한 아동의 연령이 18세에 달하였거나, 보호의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인정될 때에는 해당 시설의 장은 입소의 조치를 취한 도지사 또는 시장, 군수의 승인을 얻어 그 보호 중인 아동을 퇴소시켜야 한다. 다만 대학교에 입학하거나 일정한 사유가 있는 경우 2년까지 보호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렇게 보호가 종료되는 청소년들을 "보호 종료 청소년"이라 칭한다.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