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장애인 생활 환경의 편의 증진 방안에 대하여2024.10.211. 장애인의 접근권 1.1. 접근권의 의의 접근권(rights to access)은 장애인이 처해 있는 일상적인 장벽들을 제거하고 모든 생활영역에서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한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접근권은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권리 개념으로,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들을 실제적이고도 절차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창안된 개념이다. 접근권의 등장은 시민적 자유권을 보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빈부격차가 커지고 불평등이 확산되어, 사회적 기본권의 보장이 필요해짐에 따라, 사회적 기본권의 명목화와 함께 등장하게 ...2024.10.21
-
특수아 통합교육 역사적 배경 및 중요성 분석2024.10.131. 특수아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중요성 1.1. 특수아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 1.1.1. 정상화 운동과 최소제한환경 개념 1960년대 복지 선진국을 중심으로 장애인을 시설에 수용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면서 탈시설화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을 따로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비장애학생과 같은 학급에 배치하여 함께 교육하는 이른바 통합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등장한 개념이 바로 정상화 운동과 최소제한환경 개념이다. 정상화 운동은 장애인이 일반인과 동일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지...2024.10.13
-
어린이 유니버설 디자인 건물2024.10.181. 유니버설 디자인 개요 1.1.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 및 배경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보편적 설계)이란 "건물이나 시설, 제품에 추가 비용 없이, 혹은 최저 비용으로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기능적이고 매력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는 성별, 나이, 장애, 언어 등으로 인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보편적 디자인을 의미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역사적 배경은 조금씩 다르지만, 디자인을 통해 소외된 계층을 포용한다는 취지는 동일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출현 배경을 살펴보면, 1990년대 미국...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