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HFNC2024.08.301. 호흡 지원 기기 1.1. 고유량 비강 캐뉼라(HFNC) 1.1.1. 정의 및 특징 고유량 비강 캐뉼라(HFNC)는 가온/가습된 흡입분율(FiO2 21-100%)의 산소를 최대 60L/min의 유속으로 전달하는 형태의 비침습적 호흡보조요법이다. HFNC는 낮은 유량의 산소공급 시스템(low flow system)과 달리 기계에서 공급되는 유량이 환자의 흡기 요구량보다 크기 때문에, 실제 적용되는 흡입산소분율(FiO2)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에서도 안정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2024.08.30
-
미숙아 발달지지2025.03.111. 미숙아 발달지지 1.1. 발달지지 간호 발달지지 간호는 고위험 신생아의 자궁 외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중재이다. 환경에 대한 반응은 유전, 성숙 정도, 질병의 심각정 등에 영향을 받지만, 신생아집중치료실은 간호사에 의해 조절과 변화가 가능한 곳이므로, 발달을 지지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켜 입원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발달지지 간호에는 체위 지지, 전정 기능 향상, 촉각 자극 제공, 기타 감각 자극 제공 등이 포함된다. 체위 지지는 근 긴장도가 중력에 대항할 만큼 발달하...2025.03.11
-
고위험신생아퇴원교육지침서2025.03.221. 고위험신생아의 이해 1.1. APGAR 점수 APGAR 점수는 출생 직후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빠르고 간단한 방법이다. 이는 신생아가 처음으로 자궁 밖으로 나와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검사는 다섯 가지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며, 0점에서 2점까지 점수를 측정하여 총점을 통해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한다. 검사항목으로는 피부색과 외모, 맥박 횟수, 자극에 대한 반응, 근육의 힘, 호흡이 있다. APGAR 점수는 신생아의 생체징후와 퇴원 시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1.2. 미숙아의...2025.03.22
-
고위험 신생아 체온조절 간호2025.03.071. 고위험 신생아 체온조절 간호 1.1. 피부간호와 일반위생 1.1.1. 피부 피부는 미숙아의 대표적인 생리적 특성이다. 출생 후 피부는 매우 얇고 약하며 부피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다. 이로 인해 피부 손상, 욕창, 표피박리 등의 위험이 크다. 미숙아의 피부에는 여러 가지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기동성 장애, 단백질 및 영양 결핍, 부종, 실금, 감각 상실, 빈혈, 감염, 기관 내 삽관, 부적절한 체위 변경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미숙아의 피부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주기적으로 사정해야 한다. 욕창이 흔하지는 않지만...2025.03.07
-
아동질병간호중재논문2024.09.301. 관심전환이 아동 통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 1.1. 스마트폰 영상을 이용한 관심전환이 학령전기 아동의 통증과 주사공포에 미치는 효과 학령전기 아동은 인지발달 과정 중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아동들은 통증이나 질병을 자신의 잘못에 대한 벌로 해석하는 비약적 추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맥주사는 최근 가장 많이 이용하는 투약방법 중 하나로 아동이 입원 시 통증을 느낄 수 있는 침습적인 처치이다. 아동이 느끼는 통증은 정서적 스트레스와 혈관 수축, 심하게 몸이 흔들리는 것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