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연명의료에 대한 나의 생각2024.09.121. 연명의료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1. 연명의료의 정의 연명의료란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고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 질병의 원인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지만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치료를 뜻하는 것이다. 연명의료에는 음식물공급, 산소, 수액공급 등의 일반적 연명의료가 있고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등 특수 연명의료가 있다.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면서,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들은 심폐소생술이나 혈액투석 또는 항암제 투여나 인공호흡기 착용 등의 4가지 시술에 의한 연명의료를 처음부터 시행하지 않거나(연명의료 유...2024.09.12
-
보건의료법규 판례2024.11.241. 의료법 위반 관련 판례 분석 1.1. 당직의료인 배치 요건에 관한 판례 의료법 제41조는 "각종 병원에는 응급환자와 입원환자의 진료 등에 필요한 당직의료인을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당직의료인의 수, 당직의료인의 자격 등 당직의료인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의료법에 아무런 규정이 없으며, 당직의료인의 구체적 내용을 정하는 것을 대통령령 등 하위법규에 위임하는 규정 또한 찾아볼 수 없다. 의료법 시행령 제18조 제1항이 병원의 규모에 따라 배치하여야 할 당직의료인의 수를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법률의...2024.11.24
-
생명의료윤리 선2024.09.071. 생명윤리의 개념 1.1. 생명윤리의 개념 생명윤리학(Bioethics)은 생물학과 의학 분야의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학문으로, 인간 생명의 보존, 유지, 발전에 관한 도덕적 문제를 탐구하는 응용윤리의 일종이다. 현대에는 생명과학의 발달에 따른 과학기술 영역이나 개입의 정도, 이를 허용하는 범위 등을 규정하는 윤리적 판단기준에 관한 것을 지칭하기도 한다. 생명윤리학은 전통적인 윤리이론에 과학, 의학, 보건위생학 등과 같은 전문 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이 접목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1.2. 생명윤리의 탄생 생명윤리의 탄생은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