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보의 전단력 실험 이론2024.10.071. 보의 전단력 실험 1.1. 실험 목적 보의 전단력 실험의 목적은 전단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같은 하중의 크기로 위치에 의한 보의 전단력을 실험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보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전단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하중 조건의 변화가 전단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며, 오차에 대한 이해와 전단력에 대한 개념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1.2.1. 보(Beam) 보(Beam)는 수직재의 기둥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수평 구조부재이다. 보의...2024.10.07
-
기계공학 실험 보 휨 모멘트 측정2024.10.13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보의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휨모멘트가 발생한다. 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위치가 변할 때 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하여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하중이 증가할 때 모멘트가 변하는 것과 임의의 위치에서 모멘트 변화를 측정하여 휨모멘트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의 종류 실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중의 증가에 따른 모멘트의 증가를 측정한다. 모멘트 암의 힌지부에 하중을 걸어 모멘트의 크기를 측정하고, 계속해서 추의 크기를 달리하여 실험을 반복...2024.10.13
-
보의 휨 모멘트 및 전단력 측정2024.10.131. 실험 목적 1.1. 보의 휨 모멘트 측정 보의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휨모멘트가 발생한다. 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위치가 변할 때 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하여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하중이 증가할 때 모멘트가 변하는 것과 임의의 위치에서 모멘트 변화를 측정하여 휨모멘트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험의 종류로 1) 하중의 증가에 따른 모멘트의 증가 측정과 2) 하중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임의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모멘트 측정을 실시하였다. 모멘트의 평형방정식(∑M = 0...2024.10.13
-
한국수자원공사 수행사업 직무능력평가 대비2025.01.061. 댐 및 보의 현황과 운영 1.1. 댐 및 보의 현황 K-water는 2020년 기준으로 20개의 다목적 댐과 14개의 용수전용댐 그리고 16개의 다기능보를 운영·관리하고 있다. 국내 전체 댐의 홍수조절용량의 95%, 용수공급능력의 60%에 해당하는 댐을 K-water가 운영·관리하고 있다. 보는 각종 용수의 취수, 주운 등을 위하여 수위를 높이고 조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하천 종단 방향으로 설치되는 시설이다. 이와 같이 K-water는 20개의 다목적댐, 14개의 용수댐, 5개의 홍수조절댐, 1개의 하굿둑을 관리하...2025.01.06
-
건축 정적분2024.10.291. 수학과 적분 1.1. 정적분 1.1.1. 구분구적법 구분구적법(區分求積法)은 어떤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할 때, 주어진 도형을 세분하여 그 도형의 넓이나 부피의 근사값을 구한 뒤, 그 근사값의 극한값으로써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이다. 평면 위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 이 도형을 n개의 작은 직사각형으로 나누고 각 직사각형의 너비를 작게 가져가면서 그 직사각형의 면적의 합이 해당 도형의 넓이에 점차 접근하게 된다. 이때 n이 무한히 증가하면, 이 합은 그 도형의 넓이에 수렴하게 된다. 이와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