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의료법규2024.08.271. 간호 관련 의료사고 판례 1.1. 의료사고 발생 사례 서울대병원 간호사가 환자용 속여 마약 투약한 사례를 보면, 처방된 약물이 아닌 다른 약물을 투여해 환자를 사망케 한 간호사에게 업무상과실치사 유죄가 선고되었다. 이 사례에서 간호사 A씨는 수개월 전부터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을 환자 이름으로 몰래 대리처방 받아 상습 투약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A씨가 따로 몸이 아파서 그런 건 아니고 스트레스 해소 등 본인 만족을 위해 투약을 하기 시작했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간호사가 마약성 진통제를 환자 속여 불법...2024.08.27
-
환자인식팔찌2024.09.031. 주제 선정 1.1. 주제 선정 배경 병원은 환자를 잘 치료하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야 한다. 의학이 발전할수록 진료의 과정도 복잡해지며, 복잡한 진료 과정들 중 한 단계라도 사소한 오류가 발생하면 환자에게는 심각한 유해사고를 포함하는 다양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진료과정의 오류를 줄여 환자의 안전을 높이는 것은 좋은 병원이 되기 위해서는 너무 당연한 것이다. 환자 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엉뚱한 환자를 수술할 수도 있고 엉뚱한 환자에게 투약, 수혈, 주사를 할 수도 있으며 다른 ...2024.09.03
-
투약오류 은폐2024.09.091. 서론 1.1. 투약의 중요성 투약은 질병의 회복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인체에 의약품을 이용하는 중요한 행위이다. 간호사는 투약 업무를 직접 수행하며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 투약업무는 전체 간호 업무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중요한 활동이다. 투약이 간호사가 하는 업무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사가 환자에게 직접 투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호사가 약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약물 투여 전후로 확인의 의무, 주의의 의무, 설명의 의무를 준수한다면 ...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