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malignant neoplasm bronchus or lung2025.05.151. 서론 1.1. 폐암의 정의와 역학 폐암은 폐를 구성하는 조직 자체에서 암세포가 생겨난 원발성 폐암과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서 생긴 뒤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옮겨 와서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뉜다. 폐암은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 등 병리조직학적 기준에 따라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구분된다. 특히 발생하는 폐암의 80~85%는 비소세포폐암이 차지한다. 2021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54,718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폐암(C33~C34)은 29,960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1.8%를 차지하여 2위를 ...2025.05.15
-
대장암2025.04.231. 서론 1.1. 대장암의 정의 및 특성 대장암이란 대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이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또는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의 구조는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대장암은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대장암 외에도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발병률을 보이며, 대장암 환자의 ...2025.04.23
-
간세포의 악성신생물2025.08.111. 간세포의 악성신생물 간세포의 악성신생물은 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간세포는 간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세포로, 간세포 기원의 악성 종양은 간세포암이라고 한다. 간세포암은 발생과 진행 과정에서 정상 세포의 성장과 분화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종양세포의 특성인 증식성, 침윤성, 전이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간세포암의 주된 원인은 만성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며, 간경화, 알코올 섭취,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곰팡이독소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간세포암의 임상 증상으로는 종괴 형성에 따른 복부 불편감...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