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대한민국의 첫번째 봄 19192024.10.141. 서론 인류는 여러 전염병으로 인한 팬데믹을 거쳐왔다. 과거 수렵채집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전환되면서 인구밀집과 가축 사육이 보편화되어 다양한 전염병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흑사병과 스페인 독감은 대표적인 팬데믹이었다. 스페인 독감은 5000만 명 이상을 사망에 이르게 했으며, 현재 발생한 COVID-19 또한 팬데믹 상황을 초래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과거 스페인 독감의 양상과 현재 COVID-19의 양상을 비교하고, 두 사건에 대한 대처의 차이와 피해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인류가 전염병에 대처할...2024.10.14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2012년~2022년) 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2025.01.031. 코로나19 현황 및 대응 1.1. 코로나19의 이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급성 호흡기 증후군이다. 이는 같은 코로나바이러스과(영어: Coronaviridae)의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2002년 유행)과 중동호흡기 증후군(MERS, 2012년 유행)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코로나19의 주요 증상은 발열, 기침, 인후통, 가래, 근육통, 무력감 등 독감과 유사하...2025.01.03
-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2025.01.061. 코로나19와 사람들의 취미생활 변화 1.1. 코로나19 상황 분석 1.1.1. 코로나19의 지속 가능성 코로나19의 지속 가능성은 여러 전문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토착화되어 풍토병으로 남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YTN의 2021년 9월 25일 기사에 따르면 모더나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는 "지금으로부터 1년 안에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인 팬데믹을 종식하고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을 것"이라고 ...2025.01.06
-
면역학 백신 작용원리2024.12.031. 서론 2019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공포에 빠졌다. 지금까지 전 세계 3,106,433명의 사망자와 국내에서 1,820명의 사망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1.4.26.기준) 이에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를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백신과 치료제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예방용 백신의 종류로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불활화 백신(시노팜, 시노백), DNA백신, RNA백신(모더나, 화이자), 재조합 백신(노바백스), 바이러스 유사...2024.12.03
-
sir모델과 감염재생산지수2024.08.181. 서론 1.1. 코로나19 팬데믹의 발생과 전개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새로운 변종의 코로나바이러스인 SARS-CoV-2로 인한 코로나19 사례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에 최초로 유입된 2020년 1월 20일을 거쳐 2020년 2월 23일에 심각 단계가 발령되기까지 우리의 일상생활은 많은 부분에서 달라지게 되었다. 초기에는 외출 자체를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등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컸으나, 이후 단계적으로 완화된 방역 조치를 거치며 일상을 회복해 나가기 시작했다. ...2024.08.18
-
SIR2024.09.091. 서론 1.1. 코로나19 발생 배경 2019년 12월 31일에 WHO에 보고된 새로운 변종의 코로나바이러스인 SARS-CoV-2로 인한 사례를 시작으로 하여 대한민국에 최초로 들어온 2020년 1월 20일을 거쳐 결국 심각 단계가 발령된 2020년 2월 23일을 기점으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의 생활은 많은 방면에서 달라지고, 여러 방식을 지니게 되었다. 평소 거리에서 혹은 실내에서 계속 마스크를 착용하였으며, 코로나19의 발생 초기에는 외출 자체를 하지 않고 집 안에서 모든 걸 해결하며, 지내거나 사회적...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