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선천성 거대결장 케이스2024.12.141. 서론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는 질병이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며,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 더 많이 발생된다. 또한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2일 이상 태변 배출이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2024.12.14
-
항문주위농양 케이스2024.11.131. 항문 주위 농양 (Perianal abscess) 1.1. 정의 Perianal abscess는 항문 주위의 항문샘에 염증이 생겨서 농양이 차는 질환이다. 항문직장 농양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 크기가 작고 항문 주변에 발생하는 항문주위형 농양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항문 속 1~2cm에는 항문샘이라는 구조가 6~10개가 있는데, 이곳에서 배변 시에 항문 속 윤활 작용을 해주는 분비물이 나온다. 이 항문샘에 세균감염이 일어나 염증이 발생하고 고름집(농양)이 형성되는 것이 바로 Perianal abscess이다. 항문...2024.11.13
-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2024.09.271. 장 배설 장애와 관련된 질환 1.1. 변비 1.1.1. 증상 변비의 증상은 질병이 아니라 하나의 증상으로서 평상시보다 더 단단한 형태의 변을 보는 것이다. 장의 운동성이 늦어지면 음식물이 장에 머무는 시간도 늘어나고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지속적으로 장에 흡수되어 대변이 단단해지고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왼쪽 하복부에서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며 변의 형태는 정상이나 배변이 지연되는 경우, 정상 배변형태에 변화가 있었거나 변의가 있어도 배변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 1.1.2. 원인 불규칙적인 배변습관과...2024.09.27
-
수술과 관련된 배변장애 간호과정2025.04.121. 수술과 관련된 배변장애 간호과정 1.1. 장 배설 장애 1.1.1. 배설 장애의 개념 인간의 몸은 음식물을 섭취하고, 이를 소화하는 과정을 거쳐 잔여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배변 기전이라 한다. 구강을 통해 섭취된 음식은 식도를 통해 위로 전달되고, 이후 십이지장과 소장을 거치며 소화 및 영양소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대장에서는 잔여 영양소와 수분을 흡수하고, 직장에서는 잔여물이 배변으로 보관되어 외부로 배출되면서 배변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얻는 과정이자 잔여물을 배출하여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