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국어 자음체계와 베트남어 자음체계 대조분석2024.12.02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가 최근 2년 연속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베트남은 대한민국과의 다양한 교류가 증가하며 예외적으로 거주 주민 수가 늘어나고 있다"". 1992년 한국과 베트남이 수교한 이후 30년이 경과했으며, 최근 관광, 수출입, 자본투자 등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베트남은 한국에 있어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인들의 한국어 교육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베트남 유학생들이 한국의 대학 및 어학당에 유학을 오거나 베트남 내 세종학당에서 한국...2024.12.02
-
내가 몰랐던 언어 소개하기2024.12.251. 베트남어 개요 1.1. 베트남어의 특징 베트남어는 베트남 공용어로, 베트남에서 제일 큰 민족 그룹인 '킨인'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베트남어는 여러 지역 방언으로 다양성을 보이며, 특히 성조(聲調)가 발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베트남어는 단어 의미를 구분하는 데 성조가 매우 중요한데, 베트남어에는 6개의 성조가 존재한다. 이는 한국어와 같은 비성조 언어 사용자들에게 발음과 언어 습득이 쉽지 않은 부분이다. 또한 베트남어는 단어와 단어의 결합이 자유로워 신조어 생성이 유연한 언어로 평가된다. 예를 들어 '사과'를...2024.12.25
-
한국어와 베트남어 품사 비교2024.11.271.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대비 분석 1.1. 베트남어의 생성 과정 베트남어의 생성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베트남은 일찍부터 한자를 문자로 사용하였는데, 10세기에 걸친 길고 긴 북속(北屬)기간(BC 179-AD 938) 동안 베트남인들은 한족의 풍습과 법령을 따랐다. 약 2000년 이상 베트남은 고유의 공식 문자가 없어 한자로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에서는 한자를 '쯔뇨(ch Nho)'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Nho(儒)'는 유교, 유학을 의미하는 것으로 베트...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