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베타차단제2024.09.111. 베타 차단제(Beta Blockers) 1.1. 심장 선택성 베타 차단제 중 metoprolol, atenolol 등은 심장 베타1- 수용체에 선택성이 있어 당뇨병 환자, 천식 환자 등과 같이 베타2- 수용체 차단효과가 금기인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약물은 기관지경축, 말초혈관수축,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유발할 확률이 적다. 그러나 용량을 증가시키면 선택성이 상실되어 다른 베타 차단제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하다. 1.2. 내인성 교감신경작용 베타 차단제 중 acebutolol, pindolol, o...2024.09.11
-
약리학문제2024.12.141.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1.1. 녹내장 환자에게 주의해야 할 약물 녹내장 환자에게 주의해야 할 약물은 다음과 같다. 녹내장 환자에게는 동공을 확장시켜 안압을 높일 수 있는 항콜린성 약물 사용을 피해야 한다. 이러한 약물에는 atropine, ipratropium(Atrovent), scopolamine(Transderm-Scop) 등이 포함된다. 이 약물들은 동공을 확장시켜 안압을 높여 녹내장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녹내장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은 안압을 낮추는 아드레날린 약물과 콜린 약물이다....2024.12.14
-
협심증 통증 간호과정2024.10.091. 협심증 1.1. 협심증 개요 1.1.1. 병인론 협심증의 병인론은 크게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의 원인으로는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 저혈압, 빈혈 및 저산소혈증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심근의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 사이의 불균형이 초래되어 협심증이 발생하게 된다. 두 번째로는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협심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운동, 흥분, 과음, 과식 등의 생리적 요인과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같은 병리적 요인...2024.10.09
-
베타 차단제2025.04.021. 서론 1.1. 베타 차단제의 정의 및 작용기전 베타 차단제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계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를 통해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켜 심장의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타 차단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 혈관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부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작용기전을 통해 베타 차단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고혈압, 심부전 등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된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는 베타1과 베타2가 있는데, 베타 차단제는 이들 수...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