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생태수리학2024.10.141. 벤츄리미터 실험 1.1. 실험 개요 벤츄리미터 실험의 실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벤츄리미터 실험은 유량계의 일종인 벤츄리미터를 이용하여 유량 및 유량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벤츄리미터는 특정한 형상을 가진 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유량을 계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실험에서는 벤츄리미터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 변화와 유량을 측정하여 유량계수와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한 이론 유량을 계산한다. 실제 유량과 이론 유량의 비교를 통해 유량계수를 도출하고, 거리-압력수두 관계 및 실제 유량-유량계수 관...2024.10.14
-
밴츄리미터2024.10.141. 벤추리미터 유량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베르누이 방정식 및 이와 관련하여 유체유동 중에 일어나는 에너지 손실, 즉 역학적 에너지 손실 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다. 비압축성 유체의 경우 단위질량의 유체가 가지는 압력 에너지, 속도 에너지의 합은 항상 일정하며 이것을 베르누이 방정식이라고 한다. 본 실험은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벤츄리 미터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수두변화를 측정하여 에너지 손실 및 유량의 크기에 따른 유량계수를 결정한다. (벤츄리 미터에 흐르는 유량을 예상하고 유량계수를 이용하여...2024.10.14
-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의 방정식을 압력과 수두(양정)의 개념2024.10.231. 서론 1.1. 동수역학 물의 흐름 동수역학 물의 흐름은 시간과 위치 그리고 방향에 따라 변하며 연속하여 운동하는 물의 상태를 말한다. 이를 흐름(flow) 또는 수류(水流, flow of water)라고 한다. 흐름의 속도를 유속(流速, velocity of flow)이라 하며, 유속은 수심 등 경계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흐름에 직각방향의 횡단면적을 유수면적 또는 유적(流積, cross sectional area of flow)이라 하고, 단위시간에 그 단면을 통과하는 물의 용적을 유량(discharge)이라 한다. 유속...2024.10.23
-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의 방정식을 압력과 수두(양정)의 개념으로 설명2024.10.291. 서 론 1.1. 유체유동에 대한 공학적 문제 해석 유체유동에 대한 공학적 문제 해석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유체역학의 기본 원리인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이 방정식을 활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 연속방정식은 유체의 정상상태 흐름에서 유체입자의 질량수지를 나타낸 식으로, 유체가 일정한 단면적을 통과할 때 질량 유량이 일정하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정상상태 흐름에서 단위질량당 에너지 수지를 나타낸...2024.10.29
-
수원대 화학공학응용2024.11.041. 서론 1.1. 실험 배경 공정에 있어 저장 탱크로부터 파이프를 통해 반응기로 유체를 이송시킬 때 펌프를 통해 얼마만큼의 압력(에너지)를 가해야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유체에 따라,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가해야 하는지는 전부 다르고 또 공장의 수익성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물질의 변형과 흐름을 연구하는 학문인 유변학이라는 학문도 있을 정도며, 화학공학과에서도 이를 정확하게 도출하기 위해 유체역학, 열 및 물질 전달에서 위 내용을 학습한다. 1.2. 실험 동기 공정에 있어 저장 탱크로부터 ...2024.11.04
-
급격 확대관2024.10.021. 유체 마찰 손실 실험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유량 측정 장치, 배관의 급 확대 및 급 축소, 이음쇠 및 여러가지 직경의 배관에서의 마찰손실을 측정하고 이론적 수치와 비교하는 것이다. 유체가 관내를 흐를 때 관 내면에 닿는 유체의 분자는 상호간, 또는 유체와 관벽과의 마찰로 인해 유체가 가지는 에너지의 일부가 소모되는 마찰 손실 현상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체 흐름에서의 마찰 손실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이론적 수치와 비교함으로써 실제 공정 설계 및 운전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는 것이 주된...2024.10.02
-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의 방정식을 압력과 수두(양정)의 개념으로 설명2024.11.081. 유체유동 관련 기본 이론 1.1.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은 유체역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로, 유체의 흐름 과정에서 질량 보존이 성립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즉, 정상상태에서 단위 시간당 유입되는 유체의 질량과 유출되는 유체의 질량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체가 흐르는 관에서 어느 한 지점의 단면적을 A, 유속을 u라고 하면, 유체의 질량유량 ṁ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ṁ = ρAu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이다...2024.11.08
-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의 방정식을 압력과 수두(양정)의 개념으로 설명하시오2024.10.301. 벤추리메타 튜브 유량측정 실험 1.1. 소개 Venturi meter는 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기구로 비율미터(rate meter)의 일종이다. 비율미터에는 오리피스, 노즐, 벤추리 미터, 로터미터, 위어 등이 있다. 벤추리 미터는 경사진 수축단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짧은 원형목부로 가속된 유체는 다시 원래 지름으로 완만하게 확대되는 단면을 따라 흐른다.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입구에 목부로 흐르면서 속도가 빨라진 유체는 압력이 떨어지며 이 압력 저하의 정도는 유량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유량은 상류와 목부...2024.10.30
-
항공우주학개론2024.09.291. 에어포일의 구조와 특성 1.1. 에어포일의 각 부분 명칭 및 설명 에어포일이란 비행기 날개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칭하며 날개 단면이라고 한다. 에어포일의 위 표면을 윗면이라 하고 아래표면을 아랫면이라고 한다. 에어포일의 둥근 앞부분을 앞전, 에어포일의 귀 끝 부분을 뒷전이라고 하는데 보통 뒷전은 날카롭게 되어 있다. 에어포일의 앞전은 뒷전에서부터 거리가 가장 먼 점으로 보통 정의되며 이 앞전과 뒷전을 연결한 선을 시위라 하고, 앞전에서 뒷전까지의 거리를 시위 길이라 한다. 윗면과 아랫면의 높이 차이 또는 윗면과 아랫면에 내...2024.09.29
-
울산대학교 전공실험2024.09.221. 재료역학 실험 1.1. 인장 시험 1.1.1. 공칭응력-공칭변형률 선도와 기계적 성질 인장 시험에 사용된 시료로는 알루미늄, 황동, 강의 3종류가 사용되었다. 각 시료의 공칭응력-공칭변형률 선도를 그려 탄성계수, 항복강도,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KS 표준 기계적 성질과 비교하였다. 알루미늄의 경우 KS 표준 기계적 성질은 탄성계수 70GPa, 항복강도 50MPa 이상, 인장강도 120MPa 이상이다. 반면 실험에서 측정한 알루미늄의 기계적 성질은 탄성계수 20GPa, 항복강도 325MPa, 인장강도 341.511MP...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