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임상심리학을배우는이유2024.09.191.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특징 1.1. 임상심리학의 정의 임상심리학은 정신장애나 심리적 문제를 연구하고 인간의 이해를 통해 교육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 센터나 병원을 방문한 내담자의 지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과 장애를 이해하고 예측하여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심리적 방법이나 절차를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1.2. 임상심리학의 역할과 목적 임상심리학의 역할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정신장애나 심리적 문제를 연구하고 이해하며, 이를 통해 교육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센터나 병원을 방...2024.09.19
-
마약재판반성문2024.09.241. 범죄심리학 1.1. 범죄심리학의 개념 범죄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요구에 따라 범죄자를 중심으로 범죄행동과 범죄자의 심리적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인간이 왜 범죄를 저지르며 어떠한 인간이 범죄를 저지르는가에 대한 학문이다"". 범죄심리학은 1872년 독일의 에빙(Ebing)의 "Outline of Criminal Psycholgy"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협의의 범죄심리학과 광의의 범죄심리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협의의 범죄심리학은 범죄사실의 실체적 진실발견을 중심으로 한 범죄자의 성격과 행동, 심리를 연구하는 분야이며, 광의...2024.09.24
-
범죄심리학 살인범죄 동기 요약정리2024.10.131. 범죄심리학의 정의와 접근방법 1.1. 범죄심리학의 본질 범죄심리학의 본질은 범죄자의 심리와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간과 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진리와 선을 달성하고자 하는 데 있다. 범죄심리학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범죄자의 심리와 행동을 학문적으로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하는 것이다. 둘째, 이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복지를 증진시키고 진리와 선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범죄심리학은 범죄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범죄자의 심리와 행동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2024.10.13
-
범죄와 범죄심리 중간기말족보2024.10.121. 범죄행동과 심리 1.1. 범죄의 개념 범죄는 포괄적으로 [반사회적 행위(anti-social behavior)]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법률적 개념에서 접근한다면 범죄란 법을 위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모든 범죄는 형사법상의 제재가 예정되어 있는 규범에 위반하는 것이다. 그러나 범죄는 상황과 상관없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시대와 장소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해 갈 수밖에 없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범죄학자들은 범죄의 개념을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다수의견으로서의 시각',...2024.10.12
-
2023-2학기 범죄와범죄심리 강의자료2024.10.221. 범죄의 이해 1.1. 범죄 발생의 양상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다양한 범죄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과거에는 자신과 직접적인 원한이 있는 대상을 상대로 범행을 하였으나, 현대사회가 복잡·다양화됨에 따라 자신의 주관적 감정 변화에 따라 아무런 상관이 없는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무동기 범죄와 모방범죄가 만연해지고 있다"" 범행 수법 또한 잔혹해져, 사체를 토막 내거나 손상시키는 범죄가 심심찮게 보도되고 있으며, 나아가 살해 후 인간의 장기를 분리시키거나 실험적으로 섭취하는 등 카니발리즘(cannibalism)의 경향까지 나타나고 ...2024.10.22
-
이상동기범죄 유형2024.12.011. CPTED와 범죄예방 1.1. CPTED의 개념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다. CPTED의 목적은 범죄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피해자를 보호하는 것이다. CPTED는 범죄의 구성요소인 피해자, 범죄인, 장소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적절한 건축설계나 도시계획 등 주변 환경의 설계(또는 재설계)를 통해 잠재적인 범죄자의 범행기회를 제거한다. 이를 통해 물리적·심리적으로 범죄를 억제하여 예방하고, 주민들에게 물리적 환경...2024.12.01
-
범죄심리학 개념과 이상행동 정리2025.01.191. 서론 1.1. 범죄심리학 개념과 정의 범죄심리학은 법률에 의해 처벌되는 반사회적, 반공공적 행동에 대해서 그 행동의 배경인 심리적 메커니즘을 밝히는 심리학이다. 범죄란 사람들 간의 신뢰를 무너트리고 배신감을 주기 때문에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와 신뢰를 무너뜨리고 회복하기 어렵게 만드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범죄의 개념은 시대와 국가에 따라 변경되어 왔기 때문에 범죄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범죄의 개념은 크게 형식적 의미의 범죄와 실질적 의미의 범죄로 나눌 수 있다. 형식적 의미의 범죄는 법률적 범죄 개념을 ...2025.01.19
-
범죄자 마음을2024.09.021. 범죄심리학과 프로파일링 1.1. 범죄심리학의 정의 범죄심리학(犯罪心理學, 영어: criminal psychology)은 범죄를 일으키는 범죄자의 특성과 배경, 환경 요인을 알아내 범죄 예방과 범죄 수사, 또한 범죄자의 갱생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응용심리학의 하나로 분류되며 범죄 심리학의 연구 영역은 범죄정신의학, 범죄사회학, 형사 정책 등과 겹치는 부분도 많다. 또한 범죄학(범죄생물학)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1.2. 프로파일링의 개념 프로파일링은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사건 해결을 지원하...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