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인간관계론2024.10.111. 인간관계론: 고프만(E. Goffman)의 역할소원과 인간관계 유형 역할소원(role estranging)은 고프만(E. Goffman)이 제시한 개념으로, 역할 행위자가 특정 역할의 진정한 의미는 수용하지 않은 채 형식적, 의도적으로 외형적 역할만을 수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역할소원은 진정으로 행할 의사가 없으면서도 상황의 압박 때문에 일을 하는 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목사인 이00은 지역사회에서 신망받는 인물이지만, 실생활에서는 아내의 만든 반찬을 두고 반찬타박을 하거나, 여성신도의 민망한 옷차림에 ...2024.10.11
-
학교폭력 행동수정모델2024.11.111. 서론 학교폭력은 학생 사이에서만 생각할 수 있지만 교사가 학생에게 행사하는 폭력은 드물지만, 학생이 교사에게 하는 폭력도 적용 가능하다"". 학교 안팎에서 폭력이 계속 발생하고 있고, 정부는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심각한 청소년 문제 중 하나이다. 청소년폭력은 많은 피해자가 청소년이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형법에서 폭력은 사람에 대한 유형적 힘의 행사로 정의되지만 폭력은 일반적으로 신체적, 신체적 폭력 외에 언어적, 심리적 폭력을 포함한다"". 2. 학교폭력 청소년의 가해 행동 감소를 위한 행동수정모델 적용...2024.11.11
-
쥐 행동실험2024.11.091. 동물 행동실험 1.1. Dark and light box test Dark and light box test 실험은 쥐의 감정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이다. 쥐는 일반적으로 밝은 곳보다 어두운 곳을 선호하는데, 우울증 증상이 있는 쥐는 이러한 특성이 감소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쥐 A는 dark chamber에 84.89%, light chamber에 15.11%를 머물렀고, 쥐 B는 dark chamber에 67.44%, light chamber에 32.56%를 머물렀다. 따라서 쥐 A가 쥐 B에 비해 dark cha...2024.11.09
-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주요 개념과 양육자의 역할2024.12.151. 사회학습이론과 양육자의 역할 1.1.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1.1.1. 관찰 학습과 모방 관찰 학습과 모방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인간이 직접적인 경험 없이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것을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특히 어린이들은 사회적 행동을 배우는 데 있어 관찰 학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두라의 '보보 인형 실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공격적인 행동을 모델링한 어린이들은 그렇지 않은 어린이들에 비해 훨씬 더 높은 빈도로 공격적인 행동을 모방하였다. 이는 관찰...2024.12.15
-
조작적조건화이론2025.01.211. 조작적 조건화 이론 1.1. 스키너의 생애 Burrhus F. Skinner는 1904년 펜실베니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따뜻하고 안정된 분위기에서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여러 가지 도구를 직접 만들어서 갖고 놀거나 글쓰기를 즐겨했다. 변호사인 아버지는 법률가가 되기를 기대했으나, 그는 국문학을 공부하기 위해 해밀턴 대학교에 진학하여 전문적인 작가가 되고자 했다. 대학교 4학년 때는 시인 Robert Frost를 소개받아 자신이 쓴 글들을 보냈고 Frost로부터 계속 글을 써보라는 격려 편지를 받기도 하였다. Skinne...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