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9개
-
노우존2024.09.301. 탐구 주제 1: 일본 속의 한민족사 1.1. 귀 무덤 귀 무덤은 일본 교토시 히가시야마구에 있는 무덤으로 현재 임진왜란의 원흉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받드는 도요쿠니 신사에서 100미터 떨어진 건너편 공원에 방치되고 있다. 이 귀 무덤에 대해 가이드 선생님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실제로는 낮은 지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빠른 지위 상승을 이루게 되자 시기 질투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에 전쟁을 일으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 했다고 말했다. 결국 조선이 일본이 명나라에 닿기 위해 거쳐야 할 길이었던 불운한 나라가 되었고, 도요...2024.09.30
-
경상대2024.09.131. 삼국시대와 가야의 등장 및 형성 1.1. 삼국의 건국 신화 삼국의 건국 신화는 각 나라가 어떻게 세워졌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이 때 삼국의 건국의 신화가 공통적으로 시조가 하늘에서 온 알에서 나오는데 이는 왕이 곧 하늘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시조를 나타낸 이유는 알에서 나온 건국신화를 통해 시조와 그의 자손들은 하늘의 자손이며 그들이 나라를 다스리는 이유가 충분하며 자격이 있음을 보이고자 시조를 신성시하게 꾸몄다. 고구려 건국 신화가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되어(광개토대왕비) 전해 내려왔다. 백제와 신라의 건국신화는 삼국...2024.09.13
-
삼국시대 통일전략2024.09.191. 중앙 집권 국가 체제의 발전 1.1. 삼국의 중앙 집권 국가 체제 확립 삼국의 중앙 집권 국가 체제 확립은 구석기시대의 무리 사회를 시작으로, 신석기시대의 씨족사회, 청동기시대의 계급사회, 철기시대의 연맹왕국 형태를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가장 빨리 중앙집권체제를 완성한 국가는 고구려이다. 졸본에서 건국 후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기며 주변 소국들을 정복하고 한 군현을 공격하는 등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정복 활동에 힘입어 왕권이 강화되며, 중앙 집권 국가 체제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백제는 부여, 고구려...2024.09.19
-
기와2024.09.221. 서론 사람들이 처음 집을 지으면서 지붕을 덮은 것은 농사를 짓고 난 뒤 나오는 볏집이나, 자생하는 풀을 이은 것이다. 이처럼 풀을 이용한 지붕 재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내구성이 좋지 못해 오래가지 못했고, 화재에도 무방비였으므로 사람들은 점차 대체 재료를 생각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두된 것이 바로 기와이다. 기와는 자연에서 채취되는 흙을 사용하는데, 적당히 모래가 섞인 논흙과 같은 점토질 흙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요즈음에는 지붕 건축의 종류와 방식이 다양해져서 기와를 이용한 경우는 점차 감소하는 ...2024.09.22
-
금관가야2024.09.141. 머리말 김부식은 『삼국사기』표문에서 「고려시대 지식인들이 중국 진·한 역대의 역사는 자세하게 알면서 삼국의 역사는 잘 모른다는 것은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라고 적고 있다. 하지만 김부식은 우리의 고대에 삼국만이 존재함이 아니라는 것을 간과한 듯하다. 흔히 알고 있듯이 고대 국가로서의 삼국이 성립한 시기는 대략 3세기 이후일 것이다. 이러한 3세기 이후의 역사 속에서『삼국사기』에 등장하는 고구려·백제·신라만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한 또 하나의 왕국 가야를 간과하고만 것이다. 가야는 다른 삼국과는 달리 통일된 국가를...2024.09.14
-
익산 미륵사지2024.10.141. 익산 미륵사지 1.1. 미륵사지의 역사와 구조 1.1.1.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는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과 왕비가 사자사에 가는 길에 용화산 아래 큰 연못에 이르렀을 때 미륵삼존이 나타났다. 왕비가 왕에게 이곳에 큰 절을 세울 것을 청하자, 왕은 승려인 지명법사에게 연못을 메울 방법을 묻고 신력으로 하루만에 산을 옮겨 연못을 메워 대전과 탑, 회랑 등을 각각 세 곳에 세웠다. 이 절을 '미륵사'라 이름 지었다. 발굴조사 결과 미륵사지는 중문-탑-금당이 일직선상에 배열된 1탑 ...2024.10.14
-
한국사2024.10.19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비교 1.1. 구석기시대의 생활상 구석기시대의 생활상은 다음과 같다.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약 70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이 시기를 구석기 시대로 구분하며, 함경 북도 웅기군 굴포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석장리를 비롯하여 전국에 구석기 시대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처음에는 돌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후에 여러 가지 뗀석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로 짐승과 물고기를 사냥하여 먹었으며, 식물의 열매나 뿌리도 채취하여 먹었다. 또한,...2024.10.19
-
고려 거란 대외 관계사2024.10.181. 고려의 대외관계와 고려-거란 전쟁 1.1. 10세기 동북아시아 정세 1.1.1. 거란의 등장과 발해 정벌 북 중국에서는 거란의 추장 야율아보기가 916년에 만주 일대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거란을 세웠다. 거란 태조는 서방 경략을 일단락 지은 후 발해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발해는 요주를 공격하여 자사를 살해하고 주민을 빼앗아감으로써 거란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이에 거란 태조는 서방 경략에 나선 군대를 회군시킨 925년 12월에 발해 정벌의 조서를 내렸다. 거란군은 발해의 부여성을 함락, 수도 홀한성을 포위하자 발해가 항...2024.10.18
-
안압지 건축2024.11.031. 한국 건축사의 흐름 1.1. 삼국시대의 건축 1.1.1. 신라의 건축 신라는 소부족국가의 연합체로 시작되었고, 중국과는 고구려와 백제에 의해 격리되어 있어 건국 초기에는 원시적인 건축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라의 국권이 안정되고 고구려나 백제와 교섭이 잦아지자 이들로부터 새로운 건축을 배웠을 것이며, 늦어도 5세기 초에는 그러한 건축을 만들기 시작했을 것으로 믿어진다. 이것은 경주지방에 많이 남아 있는 큰 무덤 속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이나, 천마총, 황남대총에서 확인된 목곽과 목관 등의 치목법이나 제작기법...2024.11.03
-
여성복지 정책 역사적 발달과정 및 인상 깊은 제도 조사2024.11.081. 한국 여성복지 정책의 역사적 발달 과정 1.1. 삼국시대의 여성 제도 삼국시대에는 여성들이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이를 반영하는 다양한 제도가 시행되었다. 삼국시대의 여성들은 가정과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는 당시 여성들의 상대적으로 높은 사회적 지위를 보여준다. 고구려에서는 여성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아 가정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여성들은 가정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구려의 여성들은 남성과 동등한 교육을...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