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시대별 메이크업2025.03.201. 시대별 메이크업 1.1. 삼국시대 1.1.1. 신라 신라에서는 일찍이 백분(白粉)과 같은 화장품이 제조되었고, 화장이 행하여졌다. 일본 고문헌에 의하면, 신라의 승려가(서기 622년) 일본에서 연분(鉛粉)을 만들었기에 상을 준 기록이 있다. 팥, 녹두를 가루로 내어 세제로 사용하였으며 콩이나 팥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료를 사용하였고, 동백이나 아주꽈리 기름으로 머리손질을 하였다. 또한 분꽃 씨 가루나 활석가루 등으로 분을 만들어 물에 개어 얼굴에 발랐으며, 나무 재를 개어 눈썹을 그렸다. 이처럼 신라에서는 백색 피부를...2025.03.20
-
한국사의 이해 삼국 발전 과정 및 향가 고려가요 차이 분석2025.01.311. 한국사의 이해 1.1. 단군신화와 고조선 성립 청동기시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는 예족과 막족이 거주하였다. 기원전 10세기부터 7세기까지 이 지역에서 비파형 청동 도검과 고인돌 등이 발견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군장 사회를 통합한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등장하였다. 단군신화에 따르면, 하늘신 환인의 아들 환웅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 3천 명의 무리를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에 내려왔다. 그리고 그곳을 신시라 칭하며 풍백, 우사, 운사 등을 거느리고 곡식, 생명, 질병, 형벌, 선악 등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여 ...2025.01.31
-
뿌리깊은 한국사2024.11.091. 한국사 인물의 재평가 1.1. 의자왕 재평가 1.1.1. 의자왕 선정 이유 의자왕을 재평가되어야 하는 인물로 선정한 이유는 의자왕의 시대에 고구려와 여제동맹을 결성하여 신라를 거세게 밀어붙였고,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가 아닌 귀족 중심 사회였던 백제에서 왕권을 강화하려고 힘썼기 때문이다. 물론 말년에 초반과 다른 인물이 되어 망국의 군주가 되었기도 하지만 또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망국의 군주였던 의자왕에 대한 기록이 안 좋게 기록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저자에게는 흥미로워서 의자왕에 대해 다시 알아보고 평가하...2024.11.09
-
한국육류의 역사이야기2024.11.091. 한국 육류 문화의 역사 1.1. 서론 최근 폭등하는 물가로 인해, 식재료에 대한 소비의 부담이 커지며 삼겹살 한 근이 폭등한 물가를 상징하는 일이 나타나기도 한다. 경제 발전의 위축은 자연스레 서민의 지갑을 얇게 만들고 있다. 언제부터 삼겹살이 우리의 생활지표를 나타내게 되었을까. 사실, 삼겹살은 저렴하게 서민들이 육류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위였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육류를 그리 즐기지 않으며, 채식 위주의 식단만을 해왔다는 것인데,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아마도 조선시대 농경 중심...2024.11.09
-
요고와장고의역사2024.10.03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크기가 매우 작으며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고는 2014년 진도 앞바다에서 최초로 발굴되었고, 2017년에는 세종시에서 백제의 요고가 출토되어 그 사용이 적어도 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요고는 삼국시대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악기였던 것으로 보인다....2024.10.03
-
삼국사기원문2024.10.301. 고대 한국문화와 문학 1.1. 고조선의 문화와 전통 1.1.1. 단군과 고조선 건국신화 고조선은 단군에 의해 건국되었다고 전해진다. 고조선의 건국 신화에 따르면, 환인의 아들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도착하였다. 그곳에서 웅과 범이 같은 굴에서 살고 있었는데, 환웅은 그들에게 마늘과 쑥을 주면서 사람이 되게 해주겠다고 하였다. 웅은 이를 먹고 21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은 끝에 여자로 변하게 되었지만, 범은 제대로 지키지 못해 사람이 되지 못했다. 웅녀는 단군 왕검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고, 이 아들이 ...2024.10.30
-
답사기행문2024.10.171. 정동의 근대사와 문화유산 1.1. 답사 지역 선택 동기 및 답사 경로 정동은 서울 덕수궁 뒤편에서 경향신문사에 이르는 동네로, 마을 이름은 조선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능침인 정릉(貞陵)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태종이 즉위하고 태조가 승하하자 정릉은 한성 밖으로 옮겨졌지만 '정동'이라는 이름은 계속 남아 지금까지 서울 법정동 이름으로 남아있다. 이번에 서울의 근대사 흔적을 찾아보기 위한 곳으로 정동을 고른 까닭은 그 당시 정동이 지닌 상징성 때문이다. 열강들의 이권다툼이 치열하던 19세기와 20세기 초, 정동은 대한제국의의 심...2024.10.17
-
한강2024.10.121. 서론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일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역이었다. 삼국 시대에는 한강 유역을 차지하는 나라가 전성기를 구가했었고, 고려 시대의 수도인 개경 역시 한강 유역과 그리 멀지 않은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 시대에는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오늘날까지 이곳이 우리나라의 수도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한강 유역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선사시대부터 형성된 한강문화 2.1. 선사시대 한강유역의 생활터...2024.10.12
-
신역검2024.10.021. 원시고대사회 1.1. 원시사회와 고조선 1.1.1. 원시사회의 전개 인류의 등장과 구석기 시대 도구 사용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한 것은 약 2-3백만 년 전부터라고 한다. 구석기인들은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았으며, 구석기 시대의 표지가 되는 대표적인 도구는 뗀석기이다. 경기도 연천 전곡리에서 출토된 뗀석기는 자갈을 망치돌로 깨뜨리거나 떼어내서 만든 것이다. 이들은 또한 자연의 불을 채취하여 인류의 생존에 큰 도움을 주었다. 구석기 시대 후기가 되면 석회암이나 동물뼈, 뿔 등을 이용한 조각품과 동굴벽화 등의 예술품...2024.10.02
-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2024.11.111. 임나일본부설이란 무엇인가 1.1. 임나일본부설의 정의 '임나일본부설'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 존재했던 가야 연맹국을 일본이 4세기 중반부터 군사력을 동원하여 정복하고, '일본부'라는 통치기관을 설치하여 6세기 중반까지 지배했다는 역사학설이다. 이 학설은 일본인 학자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주장했으며, '남선경영론', '임나지왜재래' 등으로도 불린다." 1.2. 임나일본부설의 배경 임나일본부설의 배경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학계에서 임나일본부설이 주장된 이유는 일본인들의 식민주의 사관에 기반한 것이다. 일본은 한반도 침...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