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백일해2024.09.131. 백일해 1.1. 정의 및 역학 백일해는 인간에게만 발생되는 감염병으로서, 전염력이 가장 강한 질환의 하나이다. 1640년 드바유(de Baillou)에 의해 처음 임상양상이 기술되었고, 1669년 시든햄(Sydenham)에 의해 백일해(pertussis)로 명명되었으며, 1906년 보르데(Bordet)와 젱구(Gengou)에 의해 균이 처음 분리되었다. 1945년부터 백일해 백신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전 세계적 유행은 감소하였으나,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의하면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매년 500만 명이 감염되...2024.09.13
-
백일해 증상과 치료2024.09.131. 서론 재출현 감염병이란 질병이 감소하여 옛 질환으로 잊힐 듯하였으나 최근 다시 발생이 증가하는 감염병을 의미한다. 이는 새로운 의학적 및 보건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감염률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그중 백일해는 1945년 백신의 개발됨에 따라 전 세계적 유행이 소실되었으나 여전히 간헐적인 소유행이 지속되는 감염병이다. 결핵, 수두, 홍역, 콜레라 등과 같이 제2급 감염병에 속하며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하다. 이 병은 단순히 어린 영아에만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라 청소년 및 성인에...2024.09.13
-
아동기 감염병2024.10.111. 아동기 감염병 1.1. 수두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성 질환이다. 주로 공기 중의 분비물을 통해 일차적으로 점막이나 결막에 직접 접촉하거나, 때때로 병소에 직접 접촉하여 전파된다. 수두의 전염기간은 발진이 생기기 1~2일 전부터 생긴 직후까지 전염성이 가장 강하며, 모든 발진이 딱지로 덮일 때까지 전염성이 존재한다. 수동면역 생성 후, 또는 면역 결핍일 경우, 이 기간이 지연될 수 있다. 임상증상으로는 발진이 생기기 전과 발진이 생긴 동...2024.10.11
-
디프테리아2024.10.131. 감염성 질환 개요 1.1. 디프테리아 1.1.1. 개요 디프테리아는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상기도와 피부의 국소 질환이며, 급성 박테리아성 독소 감염을 일으킨다. 디프테리아균은 길이 1-8㎛, 폭 0.3-0.8㎛인 그람양성 간균이지만 염색성은 일정하지 않다. 아포는 없고, 혐막과 운동성도 없는 형태가 다양한 세균이며,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로 염색하면 이염과립(metachromatic granule)이 보인다. 균이 인후에 감염되...2024.10.13
-
백일해 간호과정2024.10.131. 백일해 CASE STUDY 1.1. 백일해 질환 개요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제2군 법정감염병에 속한다. 백일해 감염은 면역력이 없는 아동의 경우 거의 100% 감염되며, 5세 이하 연령에서 발병률이 높다. 백일해의 원인균은 그람음성균인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이며, 인간이 유일한 숙주이다. 백일해 감염은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 기침 및 재채기 등을 통한 호흡기 전파로 이루어진다. 백일해 감염 초기에는 가벼운 증상부터 시작하여 점차 심각한 증상으로 진행하...2024.10.13
-
백일해 간호진단2024.11.141. 백일해 CASE STUDY 1.1. 병명 및 환자 정보 이 환아는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 받은 5살 된 환아로 내원 2주 전 미열, 경미한 기침 증상이 있어 LMC에서 급성 세기관지염 진단받아 약을 복용하던 중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밤사이 발작적인 기침 증상과 구토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ER 통해 입원하였다. 환아는 기침을 한번 시작하면 잘 멈추지 않는 발작적인 기침(Paroxysmal cough)을 보였고, 기침 발작 이후 구토를 동반하며 끈적한 객담양상을 확인했다. 흡기 시에는 '흡'...2024.11.14
-
백일해 case2024.11.131. 백일해 CASE STUDY 1.1.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사례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받은 학령전기 남아의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사례이다. 이 환아는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을 받은 5살 된 남아로 내원 2주 전 미열, 경미한 기침 증상이 있어 지역 의원에서 급성 세기관지염 진단을 받아 약물 복용 중이었다. 그러나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밤사이 발작적인 기침과 구토가...2024.11.13
-
백일해 case2024.10.291. 백일해 CASE STUDY 및 간호과정 적용사례 1.1. 정의 및 원인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이다. 이 세균은 그람음성균으로 인간이 유일한 숙주이며, 보르데텔라 파라백일해균(Bordetella parapertussis)에 의해서도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백일해는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주요 전파 경로는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 기침 및 재채기를 통한 비말 감염이다. 또한 증상이...2024.10.29
-
아동간호학 국가고시2024.09.021. 아동간호학 1.1.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1.1.1. 전염성 질환 1.1.1.1. 수두 수두는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성 질환이다. 수두는 주로 겨울과 초봄에 호발하며, 감염 후 영구적인 면역력을 획득하게 된다. 수두의 잠복기는 2-3주로, 감염자의 기도 분비물이나 수포 내용물을 통해 직접 접촉, 비말 감염 또는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된다. 감염기간은 발진 1일 전부터 첫 수포 발생 후 6일까지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진, 소양증, 전구증상(미열,...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