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국제아방가르드2024.10.201. 플럭서스 운동 1.1. 플럭서스의 정의와 특징 플럭서스는 끊임없는 변화, 흐름, 움직임, 변전(變轉) 등을 뜻하는 '플럭스(flux)'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1960년대 초반에 등장한 국제적인 전위예술 운동이다. 플럭서스는 기존의 문화와 예술 등을 구성하고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경향을 부정하는 반(反)예술적, 반(反)문화적 전위운동의 성격을 가졌다. 음악, 미술, 공연, 연극, 무용, 영화, 출판, 디자인, 건축과 과학을 넘나드는 소위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하는 탈(脫)장르적이면서 혁명적인 예술운동을 일컫는다. ...2024.10.20
-
시뮬라크르, 디지털, 현대미술2024.09.291. 현대미술의 트렌드와 커뮤니케이션 1.1. 예술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서의 트렌드 예술은 미를 규범이나 목표로 하고 있는 활동이다. 좁은 의미에서 예술은 조형미술, 조형예술만을 지칭하나, 넓은 의미에서 예술은 음악, 문학, 무용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예술이 예술가와 관람객 사이에 매개하여 의미, 즉 어떤 개념이나 감정의 전달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볼 때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은 언어, 문자, 캔버스, 색채, 비디오, 컴퓨터 그래픽 등 사물과 기호를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삼으...2024.09.29
-
미술세특예시2024.11.171. 미술 수업에서의 학생 활동 사례 1.1. 백남준의 예술세계 탐구 백남준은 현대미술의 거장으로 불리는 작가이다. 그는 1932년 북한 황해도 강화도에서 태어났지만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가족과 함께 월남하여 미국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그는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전통적인 미술 장르를 벗어나 과학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새로운 예술 형식을 개척했다. 백남준은 1960년대 중반 최초로 텔레비전을 예술 매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텔레비전의 전자 신호를 조작하여 화면을 왜곡시키거나 다른 영상을 믹싱하는 등 텔레비전의 ...2024.11.17
-
네오다다이즘2024.11.261. 네오다다이즘과 플럭서스 1.1. 네오다다이즘 1.1.1. 정의와 특징 네오다다이즘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 추진된 전위예술운동이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다다의 운동을 정신적으로 이어받고 기존의 가치체제를 부정하며, 일상적인 오브제나 그 파편을 주위에서 떼내어 화면에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했다. 즉, 다다 운동이 주로 기존 가치의 부정을 목적으로 파괴와 반항으로 시종한 데 비해, 네오다다이즘은 반예술적 활동을 그대로 창조 행위로 전화하고 여기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역사적으...2024.11.26
-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 작가 분석2024.12.181. 백남준의 생애와 예술 활동 1.1. 백남준의 생애 백남준은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그는 당시 한국에서 손꼽히는 재벌 집안 출신이었다. 부유한 집안 덕분에 그는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예술 작품과 과학 기술에 대해 접할 기회가 많았다. 또한 그의 누나가 피아노를 연주하였기에 음악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 백남준은 중학교에 진학하며 피아니스트 신재덕과 이건우에게 음악 교육을 받았다. 1949년, 백남준은 홍콩으로 가게 되면서 중국 철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듬해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가족들과 함께 일본으로 피신하...2024.12.18
-
최우람2024.09.021. 서론 예술에 대한 과학기술의 직접적인 영향은 산업혁명 이후로 생각 할 수 있다. 산업혁명 이후에야 비로소 예술에 대한 기술의 직접적인 영향을 거론 할 수 있게 된 것인데, 전통적으로 조형예술이 있는 그대로의 사실적 표현에 충실하였다면, 1820-30년경의 카메라의 발명에 따른 사진술의 등장은 예술의 표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1900년을 즈음해서 기술복제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예술작품 전체를 복제하게 됨으로 당시로서는 예술의 양상에 괄목할 만한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 가능성의 시대에 위...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