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임상미생물학 실험레포트2024.10.011. 미생물의 형태와 염색 1.1. 실험 소개 미생물학 실험에 필요한 세균의 염색법과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법들의 특징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직접 세균 표본을 만들고 현미경의 초점을 조절해보는 과정에서 총 세 가지 실습이 이루어진다. 첫번째로 wet mount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을 단순 관찰해본다. 두번째로 그람염색법(gram staining)을 이해한 후 각 세균을 염색해보고 차이점을 관찰해본다. 세번째로 유침법(oil-immersion)의 원리를 이해한 후 그람염색된 세균을 관찰해본다. 1.2. 실험 원리 1.2.1...2024.10.01
-
멸균배지 결과2024.09.231. 생물학실험의 기본 1.1. 멸균 및 배지 제작 멸균(sterilization)이란 대상으로 하는 물체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분포하는 모든 세균을 완전히 죽이는 무균의 상태로 만드는 조작을 말한다. 즉, 살아있는 세포뿐만 아니라 포자, 바이러스 등을 모두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배지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해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한 것이다. 배지는 생존·발육에 필수적인 물을 비롯하여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발육인자(...2024.09.23
-
다제내성균 분리률 계산2024.12.231. 혈액종양내과 실습 1.1. 혈액암과 고형암 관리 혈액암과 고형암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관리가 필요하다. 혈액암은 골수와 림프계통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등이 포함된다. 반면 고형암은 장기에 발생하는 실질성 암으로 폐암, 위암, 간암, 대장암 등이 해당된다. 혈액암의 경우 항암치료로 인한 골수 억제가 주요 문제점이다. 항암치료로 인해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 생성이 억제되어 감염, 빈혈, 출혈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2024.12.23
-
효모고체배양2024.11.221. 미생물 및 배양 개론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성 1.1.1. 미생물의 종류 및 분류 미생물은 크게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나뉜다. 원핵생물에는 세균(bacteria)과 고세균(archaea)이 속하며, 진핵생물에는 효모, 곰팡이, 조류 등이 속한다. 세균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미생물로, 핵막이 없는 단세포 생물이다. 세균은 막대, 구, 나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자양 요구성에 따라 호기성, 혐기성, 호염성 등으로 구분된다. 주요 세균에는 대장균(E. coli), 녹농균(Pseudomonas), 포도상구균(...2024.11.22
-
미생물검사의종류2024.08.311. 미생물 진단 검사 방법 1.1. 현미경 검사 현미경 검사는 검사하고자 하는 검체를 도말하여 표본을 염색하거나 또는 그대로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형태와 미세구조, 균의 감별 등 분류에 이용된다. 현미경의 기본적인 구조는 금속 원통의 양 끝에 대물렌즈와 대안렌즈를 갖추고 있으며, 재물대 밑에는 반사경이 달려있어 외부 빛을 반사시켜 검체를 비추게 한다. 현미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와 대안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계산하며, 광학현미경의 경우 최고 1000배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현미경에는 광학현미경 외에...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