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pca2024.10.051. 수술 후 통증 관리 1.1.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 정의 및 목적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는 통증이 있을 때마다 정맥이나 경막외강으로 설치된 통증 자가 조절장치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는 방법이다. PCA의 주요 목적은 통증을 즉시 조절하고, 환자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독립성을 증진시키며, 진통제의 과량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다. PCA를 통해 환자는 필요시 즉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어 통증 조절이 용이...2024.10.05
-
Pcd pcn2024.09.191. 배액관의 개요 1.1. 배액관 삽입의 목적 배액관 삽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수술창상(operative wound)부위로부터 염증 유발 물질인 pus, blood, other fluids(lymph) 등을 배출함으로써 감염의 경로를 차단하고 체내 축적을 방지한다."" 둘째, 체내 고여 있는 분비물의 배액을 위함이다. 수술 후 문합부의 누출(anastomotic leak)이나 출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해 상처로부터 배액을 실시한다."" 셋째, 수술 및...2024.09.19
-
배액관 종류 및 간호 문헌고찰2025.03.261. 배액관의 종류 및 특성 1.1. 폐쇄형 배액관 1.1.1. Hemovac/Barovac Hemovac/Barovac은 수술 후 신체 내부에 고여있는 혈액 및 농양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폐쇄형 배액관이다. 특징으로는 200, 400, 800ml의 용량이 존재하며,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고 가벼워 이동이 편하다는 점이 있다. 또한 배액관에 클립이 있어 배액물을 비울 때 잠글 수 있다. 주로 수술 후 3~7일 정도 유지된 후 제거하며,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적인 방법으로 다루어야 한다. 삽입 목적은 수술 부위의 체내 분비...2025.03.26